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2890
2일 전
enjoymyhobby/90837/6183719438780582908
아가릭럼프도, 어나운스를 예고하는군요 WLFI 인건지, ETH 인건지 어떤종목인지는 잘모르겠지만 , 또 어떤 어그로를 끌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Talk 냅두면 오른다카이🌧 고래성님들 비해 ...다음 - [기관·고래, 대규모 ETH 매집 정황] 약 7시간 사...
enjoymyhobby/6206208557557332957
취미생활방📮
@enjoymyhobby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https://x.com/CryptoMyhobby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최근포스팅
📕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9월 첫째주 이슈정리 -2 그럼에도 금에 역대급 ETF 자금이 몰리고 매매고수 엘살바도르가 금 매입을 하고 폴란드가 금의 비중을 올리는 등 경기침체를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이 각 나라들마다 계속되는 중이다. 게다가 CTA 포지션을 살펴보게 되면, 지표값: 62.7 (거의 역사적 고점 63.99 근처) 과거 평균: 24.1 최저치: -53.3 현재 위치는 역사적 최상단 즉, CTA들이 미국 주식에 극도로 베팅 중이라고 볼 수 있다. S&P도 사상 최고치 근처에 있는데, CTA 롱 포지션 또한 풀로 들어와 있다고 볼 수 있다. 상승 모멘텀은 충분히 강력하지만, 포지션 과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 보인다. 비슷한 과거 사례들과 비교해보면, 2018년 고점 대에 정책과 금리 쇼크로 급격한 디리스크가 시작되었고, 2021년 강한 랠리 말기에는 계속해서 고점 갱신을 했으나 이벤트 때마다 2~4주의 흔들림이 반복되었다. 가장 근접한 2023년 초부터 2024년 때는 AI 테마 추세가 강할때는 눌림 후 재 확장, 이벤트 미스때는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었다. 👉 정리 모멘텀이 소진되어 가고, AI 강세 랠리에서 점점 경기방어에 자금들이 쏠리고 있는 모습들이 보인다. 경기 침체가 온다라고 하기보다 둔화되는 모습이 보여서 모멘텀이 소실되면 당연히 시장에 충격이 가해질 수 밖에 없다. 더 많이 사는 것 보다는 더 '조심'해야 할 때로 보여진다. #국제
viewCount1156
1시간 전
📕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9월 첫째주 이슈정리 이번주는 고용지표에 따라 시장이 많이 움직였다. 비농업 신규고용: +22,000명 (예상 150,000명 크게 하회) →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크게 줄였다는 의미. 특히 운송·제조·건설 분야 둔화. 실업률: 4.3% (전월 4.2% → 상승) → 구직활동에 나선 인구가 늘어나면서 실업자 집계가 증가. 발표전 노동통계국 (BLS)에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면서 긴장감을 끌어올렸다. 게다가 전일 발표되었던 JOLTs 또한 큰폭으로 하회했고, 구직자 1명당 공고 0.99개로 1:1균형이 붕괴되었다. 게다가 아직도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 '구직'을 포기한 인원들이 생각보다 많이 남아 있는 상황. 어쨋든 위의 두 지표의 연관성을 파악해보면, NFP는 기업의 채용 활동을 직접 반영 → 신규 일자리 창출 규모 측정. 실업률은 가계 조사(가구 서베이) 기반 → 일자리의 “수요”뿐 아니라 노동공급(구직자 수) 변동도 반영. 이번처럼 신규 일자리는 거의 늘지 않았는데도, 실업률이 더 오른 건 “노동시장 참여율 증가” 때문. 즉,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들이 노동시장에 새로 들어왔지만 기업의 채용 수요가 뒷받침되지 못한 상황. 노동 통계 발표때 누누히 이야기를 했던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은 '실업률'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백히하고, 그 사람들이 노동시장에서 구직을 시작했을 때 실업률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이야기. 연준 입장에서 고용시장이 식고 있다라는 것은 금리 인하 근거의 정당성을 강화하게 된다. 물론 트럼프의 훼방으로 연준이 이를 갈고 있는 지금 연준은, 노동지표의 둔화를 '이민자 때문이다.'라고 몰아가고 있는 상황. 그 덕에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는 확대되고 국채금리 또한 하락. 트럼프의 일본 차량 관세 감액까지 겹치며 나스닥과 S&P는 다시한번 역대급 고점을 돌파했다. -2부 지속 #국제
viewCount1880
3시간 전
🌧 A16Z 가 Anchorage Digital 로부터 약 6,660만 달러 상당의 $HYPE 를 구매했다고 합니다 #HYPE
viewCount2390
4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