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657
2시간 전
..
개인적으로 제가 겪거나 본 해킹, 드레인 케이스만 몇 개 정리해보면... 1️⃣ 드레인 - NFT 민팅 선착순 급한 마음에 트위터 스캠러가 파딱달고 써놓은 댓글눌러서 들어갔다가 드레인 당함 - 드레인의 경우 1회성이라 지갑 자체를 버릴 필욘 없던 경우가 많았음 (권한 리보크만) - 방지방법: 포켓 유니버스 등 컨트랙트 시뮬레이션을 보여주는 확장프로그램 사용 (요즘 지갑에 내장되어 있기도 함) 2️⃣ 카피코딩 - 예전에 봇 짠다고 깃허브에서 오픈소스 주워다가 만들었는데 오픈소스 내부 코드가 아니라 참고하는 패키지가 탈취코드였고 본 지갑 프라이빗키 유출 - 방지방법: 오픈소스로 뿌려진 코드를 참고로 할 때 반드시 참고하는 패키지까지 안정성을 검증해야 함 3️⃣ 클라우드 이용 - 절대 시드구문을 클라우드에 두지말것, 특히 One Drive는 자동백업이 기능이 켜져있어서 로컬에 저장된 것도 백업 시키는 경우가 있으니 꺼둬야 함 - 추가로 구글의 2FA 앱에서도 1년 전쯤 계정 로그인 기반으로 이용가능하게 옵션이 생겼는데 이것도 클라우드 개념이라 쓰지않는 것을 권장함 4️⃣ 도둑 & 강도 - 토큰2049 등 글로벌 행사에서 코인충들이 모여드는 행사가 있으면 이를 타겟으로 하는 범죄택시 등 뉴스를 종종 볼 때가 있음 - 이걸 어케 피함?
airdr0p_lab/6289359180242466732
폐지줍기 연구소
크립토 폐지 수집 중! 로우코스트 로우리턴 지향 채팅방 t.me/airdr0p_lab_chat 트위터 x.com/oldman_cek 링크트리 linktr.ee/updao_kr 개인 메시지 @CeK_94 * 채널 방향성을 고려하여 거래소 증정금 관련 광고는 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 광고 및 kol 활동에 의해 작성 된 포스팅은 하단에 #ad, #kol 태그를 기재합니다. * 일부 포워딩 게시글의 경우 kol 활동을 포함하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