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754
2시간 전
..
BChoSN/17298/6248983438233298700
"아마도 볼륨의 10~15%만이 오가닉 거래량" 10~15%도 많이 쳐준 것 같은데 1~1.5% 아닐까 Aster 볼륨이 커지는 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거라고 생각함 Aster 풀리는 수량 계산기 두드려보고 돈 되겠다 싶어서 마치 Aster를 싸게 할인받아서 사는 행위와 똑같음 시즌3도 Aster 굴비처럼 매달아두고 단기간 얼마동안 뿌릴지 공지하면 딱 그 밸류에 맞게 거래량 올라갈거라 생각함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뱅가드, 브로커리지 계좌 고객들에 암호화폐 ETF...다음 - 🗞 크립토퀀트 "비트코인, 디지털 자산 국고 기업과 ...
BChoSN/1713420685720790954
변창호 코인사관학교
@BChoSN
채팅방 @engzip
최근포스팅
믿고 싶은 분석임 아니 신빙성 있음 아니 그냥 맞다
viewCount1256
34분 전
Perp DEX의 구조는 ICO와 똑같은 구조인데 장점이 좀 더 있는 구조임 기본적으로 수수료를 받는데 그게 코인 팔고 투자금 모집하는 것과 마찬가지 기존 코인 재단은 여기서 먹고 튀었지만 모금한 돈을 바로 엑싯하지 않고 운영자금 + 코인가격 부양을 유도하는데 씀 100억을 가격부양에 쓰면 시총은 1000억이 증가하는 식으로 프로젝트 밸류를 뻥튀기하고 팀도 토큰으로 엑싯하기 좋음 그 과정에서 당연히 워시트레이딩이 판치고 거래량 목적으로 무지성 거래하는 볼륨을 이용해서 차익도 챙길 수 있음 워시트레이딩하러 왔다가 볼륨도 빵빵하니 주 거래소로 쓰는 경우도 많은데 이 부분은 마치 거래소 가입이벤트와도 유사함 팀은 이 기회를 통해 진정성과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시식코너 찍먹하러 온 사람들을 일부 고객으로 돌리면서 진짜 거래소가 탄생하게 되는 것 하이퍼리퀴드가 성공한 과정이고 아스터덱스가 벤치마킹한다고 생각함 그래서 하리를 좋다고 빠는 사람이 아스터를 욕하는건 그냥 자기 코인 떨어질까봐 방어본능이 작동하는거라 생각함 아스터덱스를 까는 사람들보면 이상하게 HYPE 투자자가 많음 내가 보기엔 둘 다 같은 구조임
viewCount1570
1시간 전
KBW 주간 1주일 비트는 8% 내림
viewCount1532
2시간 전
✖️Aster, 지금이 고점인 이유? source

· 7일 만에 볼륨 20배, OI 33배, TVL 5배? 채택 곡선으로 설명 안 됨 = 버블 시그널
· 수수료→순익 전환율 급저하 + 포인트 인센티브 = 워시 트레이딩/지표 부풀리기 정황

1. 왜 버블이라 보나
- 실사용·리텐션·신규지갑 같은 진짜 수요 지표보다 체결 지표만 과열
- 게다가 순익 전환율 59%(하이퍼리퀴드 ~99%)은 수수료 재순환(워시 트레이딩) 의심이 됨
- 특정 시간대 몰아치기 트랜스퍼 직후 볼륨 스파이크로, 거래 지표를 만들고 있다는 정황

2. 어떻게 부풀렸나
- 거래량·체결 수에 비례해 포인트 지급 → 워시 트레이더 경제성↑
- 거래·브릿지·재예치를 반복해 체결/수수료/거래횟수를 동시 펌핑
- 과도한 메이커 리베이트/내부 상계로 과하게 매끈한 체결 분포 연출함

3. 버블 붕괴 시점
- 포인트 시즌 종료/개편하면 거래 동기가 급감
- 유통량 확대·락업 해제 시기가 오면 매도 압력 가시화
- 수수료 보조금 축소 후 연출된 체결 품질은 저하됨
변창호 코인사관학교
✖️Aster, 지금이 고점인 이유? source · 7일 만에 볼륨 20배, OI 33배, TVL 5배? 채택 곡선으로 설명 안 됨 = 버블 시그널 · 수수료→순익 전환율 급저하 + 포인트 인센티브 = 워시 트레이딩/지표 부풀리기 정황 1. 왜 버블이라 보나 - 실사용·리텐션·신규지갑 같은 진짜 수요 지표보다 체결 지표만 과열 - 게다가 순익 전환율 59%(하이퍼리퀴드 ~99%)은 수수료 재순환(워시 트레이딩) 의심이 됨 - 특정 시간대 몰아치기 트랜스퍼 직후 볼륨 스파이크로, 거래 지표를 만들고 있다는 정황 2. 어떻게 부풀렸나 - 거래량·체결 수에 비례해 포인트 지급 → 워시 트레이더 경제성↑ - 거래·브릿지·재예치를 반복해 체결/수수료/거래횟수를 동시 펌핑 - 과도한 메이커 리베이트/내부 상계로 과하게 매끈한 체결 분포 연출함 3. 버블 붕괴 시점 - 포인트 시즌 종료/개편하면 거래 동기가 급감 - 유통량 확대·락업 해제 시기가 오면 매도 압력 가시화 - 수수료 보조금 축소 후 연출된 체결 품질은 저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