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오늘 더블제로&플라즈마를 좀 샀어요. 신규코인이고 하락폭도 컸지만 다른 코인들과 다른게 한가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블제로 ($2Z)더블제로 ($2Z)
- 최악의 토크노믹스로 혹평을 많이 받았고 상장 후 가격도 계속 쳐박았는데 오늘 처음으로 매수 해봤습니다. 사실 나오기 전부터 관심갖던 프로젝트인데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체인이 아니라 네트워크라는 것 그 자체에 집중한 프로젝트‘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체인이 아니라 네트워크라는 것 그 자체에 집중한 프로젝트이기 때문이예요.
토크노믹스는 최악, 점프는 언락된 5%중 일부를 상장첫날에 매도. 이런 부분은 안좋아 보이지만 기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늘려주고 지연시간을 감소시킨다(IBRL)라는 슬로건으로 그 자체를 ‘N1' 이라고 명시합니다. 사실 솔라나 진영에서는 Jito가 네트워크 효율성 및 MEV문제를 해결하려고 나왔었는데 광섬유 네트워크 사용해서
physical 적으로 처리하는건 이전에 보지 못한 것이라 차별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점프가 추가적인 매도를 하느냐 아니냐가 제일 중요해보여요. 내년 10/2까진 더이상 풀리는 물량이 없어서.
지갑 1 |
지갑 2 두개를 참고할 예정.
플라즈마 (플라즈마 ($XPL
$XPL$XPL))
- 얘도 출시 전부터 큰 관심이 갔어요. 오늘처럼 코인시장 개박살나도 스테이블 코인 서플라이는 시장이 지속되기만 해도 계속 증가하거든요. 점점 더 커지기만 하는 섹터에 아직 그렇다 할 인프라가 존재하지 않았어요.
물론 앱토스, 솔라나, 수이 등 속도빠른 L1들은 당연히 있죠. 속도면에서가 아니라
테더사가 보급하려는 스테이블코인의 레일이 누가 될것인가가 집중해볼만한 것 같아요.
디파이 쪽은 뭐 출시초기라서 대동강이라 생각할 수 있는데 이미
스테이블 코인 마켓캡 5위 체인, 테더 유통량 4위 체인스테이블 코인 마켓캡 5위 체인, 테더 유통량 4위 체인이예요. 테더사가 직접 인큐베이팅 하기도 했고요. 그래서 결국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스테이블 코인만을 위한 체인의 새로운 등장이라 안좋은 퍼포먼스에도 불구하고 전 여전히 좋은 플젝이라고 생각합니다. 얘도 그냥 블록체인 위에 태어난
전세계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트라고 말하고 싶네요.
제가 요새는 공지도 잘 안쓰고 리서치글도 많이 안올렸는데 생각해보면 계속 그런거 했을때가 코인력 제일 높았던 것 같아서 다시 해볼려고요.
근데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니까 그냥 보고 넘기세요.근데 매수/매도 추천은 아니니까 그냥 보고 넘기세요.
#2Z #X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