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 주제: “불장은 정말 끝났는가?”
불개미는 이번 급락을 불장의 종료 신호로 본다.
“끝났다, 깔끔하게” — 즉, 과열된 상승장은 마무리됐고, 연말까지는 하락 혹은 횡보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함.
📉 시장 분석 요약
1. 현재 시장 상황
멀린체인: 시장 폭락 중에도 ATH 달성 → 예외적 강세.
휴머니티 프로토콜: 급락 후 반등했지만 거래량 약함.
대부분의 알트코인은 폭락 및 청산 도미노.
빗썸 테더가 1,523원 → 김프 약 6.5%, 과도한 레버리지와 랜딩(대출) 구조로 청산이 연쇄적으로 발생.
2. 테더 가격 상승 이유
급락장에서 레버리지 청산 방지 위해 테더를 사서 증거금 보충하는 투자자들 급증.
“있는 돈 없는 돈 다 끌어다가 테더 매수 → 바이낸스로 송금”
그 결과 테더 프리미엄 급등.
3. 레버리지 구조의 문제
비트코인·이더리움을 담보로 테더를 빌려 A코인 매매 →
3중 리스크 (담보가치, 매수코인, 테더 변동) 발생.
똑똑한 사람은 “복잡한 구조 자체를 만들지 않는다.”
마진거래보단 선물거래, 단 계산 가능한 범위 내에서만 해야 함.
💬 메인 결론: 환희는 끝났다.
비트코인 20% 급락 → 과매도권 진입은 맞지만 단기 반등 후 추가 하락 가능성.
단기 반등 목표: 12만 5천대
중장기 전망: 강한 상승은 어렵고, 연말까지 횡보 유지.
개별 알트코인은 가능하지만, 시장 전체를 끌어올리는 불장은 끝.
📣 투자 전략 & 교훈
1. 리스크 관리
“나는 투자했는가, 도박했는가?”
담보·레버리지 구조, 환리스크까지 감안한 사람은 거의 없음.
손실을 탓하지 말고, 이번 경험을 ‘비싼 수업료’로 삼자.

3641
4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