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369
4시간 전
doriworld/7979/6296326819791178498
Ethereum Data at Crisis - 아침 시장이 갑자기 변동하면서 이더리움과 L2 네트워크는 평소보다 훨씬 많은 트래픽을 처리해야 했음. - base fee: 트랜잭션 볼륨이 급증하면서 이더리움 메인넷의 base fee가 최고 500 Gwei까지 치솟음. 일반적인 온체인 활동이 거의 불가능했으며, ETH 가스 비용이 100달러 이상 들었음. - burn eth: 높은 base fee로 인해 ETH 소각이 급격히 가속화됨. 5시간 만에 약 2,000 ETH 가 소각됨. 가장 많은 가스를 소모한 트랜잭션 유형 중 하나는 스왑이 아니라 단순 ETH 전송이었음. - l2 network: L1의 가스비는 급등했으나, L2 대부분은 낮은 상태를 유지하여 급증한 트래픽을 잘 처리했음. 또한, l2의 중단이나 다운타임은 관찰되지 않음. - block builder : L2처리가 증가하면서, 더 많은 데이터가 L1으로 제출되었어야했음. 그러나 많은 L1 블록은 blob tx을 전혀 포함하지 않았음. 이는 블록 빌더가 의도적으로 blob tx를 검열하여 발생한 것임. 빌더들은 데이터 크기가 큰 blob 트랜잭션을 배제하여 MEV 수익을 극대화하는 경우가 많음. - block builder-2 : 변동성이 높은 기간 동안 차익 거래 수요가 급증하며, 빌더들은 더 수익성이 높은 트랜잭션을 우선순위로 두는 경향이 있음. 그 결과 blob 트랜잭션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거나 제외됨. 아이러니하게도 검열을 줄이기 위한 블록 빌더 솔루션인 flashbots의 buildernet에서도 blob tx 검열이 발견됨. - 이러한 blob 검열 형태는 L2 최종성을 지연시키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체인을 멈추게 할 수도 있음. 다행히도 앞서 논의한 대로, 다가오는 ePBS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함. https://x.com/TickerisETH_kr/status/1977242651603685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