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3
4시간 전
[CME BTC 선물 $1230 갭 발생] 전 거래일 $114,520에 마감했던 CME BTC 선물이 오늘 $115,750으로 시작하면서 $1230 상당의 갭이 발생했다. CME BTC 선물 갭은 차트에서 금요일 종가와 월요일 시가 사이에 벌어진 공간을 말한다. CME는 주말에는 장이 닫혀 있는 반면 비트코인 현물 시장은 연중무휴 돌아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주말에 현물 가격이 크게 출렁일수록 이 갭이 더 커진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현물 가격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선물 가격이 이 갭을 메울 가능성에 주목한다. coinness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솔라나폰 Seeker 활동 만들기 -월렛 앱 들어가면...다음 - 업계 대장 바이낸스듀 이번에 뜩락할 때 차입청...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10월 13일 ( 정오 ) 간추린 코인뉴스 [분석 BTC, 역대 최대 강제청산에도 나름 선방] 11일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 강제청산 사태에서 BTC는 알트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고 위스턴 캐피털 설립자 찰리 에리스가 진단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그는 이날 187억달러 규모 강제청산이 발생했으며 BTC, ETH, 스테이블코인을 제외한 알트 시총이 25분여 만에 33% 감소했다. 그후 일부 회복세를 보이긴 했지만 10월 6일 이후 전체 암호화폐 시총은 5600억달러(13.1%)가 증발한 상태다. 그럼에도 BTC 하락세는 대형 기술주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BTC가 365일 지수이동평균(EMA) 위에서 유지되기만 한다면 가격 회복 가능성은 분명 있다고 분석했다. [바이낸스 USDe 등 디페깅 관련 $2.83억 피해자 배상 완료] 최근 USDe, BNSOL, WBETH 디페깅으로 인한 강제청산과 관련, 바이낸스가 이슈 발생 후 24시간 내 총 2.83억달러를 피해자에게 배상 완료했다고 밝혔다. 바이낸스는 배상금은 2차례에 걸쳐 지급됐으며, 추후 자금 내부 이체, 언(Earn) 상품 해지 지연으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 배상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중국 관세 100% 추가 부과 발언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폭락하면서 바이낸스 내 USDe 등 자산에 디페깅이 발생한 바 있다. [분석 ETH, 단기 조정 마무리...$4500 넘본다] ETH 가격이 3750달러 지지선에서 빠르게 반등하면서 단기 조정이 마무리된 것으로 보인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진단했다. 매체는 ETH 월물 선물 프리미엄이 중립 수준(5%)을 회복했고 데리비트 옵션 시장도 비정상적인 풋 쏠림 현상 없이 콜-풋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ETH 현물 ETF 운용자금이 235억달러로, 극심한 변동성 속에서 시장을 지탱했다. 시장 신뢰가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것이나 장기 모멘텀은 여전히 강세 쪽이다. 중기적으로 4500 달러 저항선을 리테스트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8...극단적 공포→공포]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14포인트 오른 38을 기록했다. 투심이 개선되며 극단적 공포 단계에서 공포 단계로 전환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유럽은행청 일부 암호화폐 업체 미카법 우회 시도 포착] 유럽은행청(EBA)이 암호화폐 업계가 유럽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와 강화된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 방지 법안을 회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디크릡트에 따르면 EBA는 보고서를 통해 일부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 엄격한 국가에서 먼저 규제 승인을 받은 후 패스포팅(passporting) 제도를 통해 다른 EU 회원국으로의 영업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불투명한 지배구조를 통해 소유권 및 책임 소재를 불분명하게 만들어 불법 거래를 합법 거래처럼 보이도록 위장하는 사례도 일부 발견됐다고 밝혔다. [CME BTC 선물 $1230 갭 발생] 전 거래일 $114,520에 마감했던 CME BTC 선물이 오늘 $115,750으로 시작하면서 $1230 상당의 갭이 발생했다. CME BTC 선물 갭은 차트에서 금요일 종가와 월요일 시가 사이에 벌어진 공간을 말한다. CME는 주말에는 장이 닫혀 있는 반면 비트코인 현물 시장은 연중무휴 돌아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주말에 현물 가격이 크게 출렁일수록 이 갭이 더 커진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현물 가격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선물 가격이 이 갭을 메울 가능성에 주목한다. [10월 셋째 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10월 셋째 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10/14 21:15 FOMC 위원 보우먼 연설 -10/15 01:20 미국 연준 의장 파월 연설, 02:00 영란은행 총재 베일리 연설, 21:30 미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 -10/16 03:00 미국 연준 베이지북, 21:30 미국 9월 근원 소매판매, 생산자물가지수(PPI) -10/17 05:30 미국 연준 지급준비금 잔액·대차대조표, 21:30 미국 9월 비농업고용지수, 실업률 [이번주 주요 토큰 언락 일정...$4020만 FTN 등] 토크노미스트에 따르면 이번 주(10/13~10/19)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CONX: 10/15 09:00, 232만개 언락, $3263만, 총 유통량의 3.00% STRK: 10/15 09:00, 1.27억개 언락, $1656만, 총 유통량의 5.64% SEI: 10/15 21:00, 5556만개 언락, $1268만, 총 유통량의 1.15% ARB: 10/16 22:00, 9265만개 언락, $3109만, 총 유통량의 1.99% DBR: 10/17 09:00, 6.05억개 언락, $1764만, 총 유통량의 17.01% FTN: 10/18 09:00, 2000만개 언락, $4020만, 총 유통량의 2.04% [모멘텀, 누적 거래량 $200억 돌파] 수이(SUI) 생태계 탈중앙화 거래소(DEX) 겸 유동성 허브 모멘텀(MMT)의 누적 거래량이 12일(현지시간) 전주 대비 35% 증가하며 200억 달러를 돌파했다. 현재 모멘텀 공식 웹사이트 기준 누적 거래량은 약 204.8억 달러, 총 락업 예치금(TVL)은 4.43억 달러를 기록 중이다. 최근 7일간 모멘텀에서는 50억 달러 이상의 거래량이 증가했다. 앞서 모멘텀은 비들패드에서 자체 토큰 MMT의 커뮤니티 세일을 진행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스페이스코인, 자체 위성군 3기 스페이스X 통해 11월 발사] 탈중앙화 위성 기반 인터넷 프로젝트 스페이스코인(SPACE)이 두번째 자체 위성군 CTC-1 3기를 오는 11월 발사한다고 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스페이스엑스의 팔콘9 트랜스포터-15(Falcon 9 Transporter-15) 미션을 통해 CTC-1을 발사할 계획이다. CTC-1 위성군이 궤도에 안착한 이후에는 △ 위성 간 통신 △위치 증명(Proof of Location) △핸드오버 프로토콜 △스파스 어퍼처(Sparse Aperture) 등 주요 기술을 실제 궤도 환경에서 검증할 예정이다. 스페이스코인은 지난해 12월 블록체인 기업 최초로 인공위성 ‘CTC-0’ 발사에 성공한 바 있다. CTC-1은 그 다음 단계로, 실제 서비스 운용을 위한 기술적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다. [홍콩 상장사 더린, $4000만 부동산 토큰화 계획] 홍콩 상장사 더린홀딩스(Delin Holdings)가 자사 소유의 4000만 달러 규모 부동산을 토큰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진행 중인 럭셔리 주택 프로젝트 원 카멜(One Carmel)을 토큰화해 주주들에게 배당금 형태로 지급할 방침이다. [아이오텍스, 토큰 바이백 및 유동성 강화 예고] 아이오텍스(IOTX)가 최근 역대 최대 규모 강제청산 사태와 관련, 거래소 및 마켓 메이킹 업체들과의 협력으로 유동성을 강화하겠다. 향후 토큰 바이백을 포함한 재단 주도 이니셔티브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공식 X를 통해 전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viewCount3
1시간 전
미친 금가격 일단 개장 4분만에 거래대금 135억 돌파 개장 10분 > 231억
viewCount4
4시간 전
미·중 갈등에 원·달러 환율 1430원 돌파…5개월 만 최고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101340086
viewCount4
4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