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스퀴드(SQD): 블록체인 데이터 인프라의 새로운 표준을 향하여 by 타이거리서치
최근 나스닥 상장사 리졸브 AI에서 인수소식이 나왔던 서브스퀴드. 리졸브AI는 기존에 인수했던 '스마트페이'라는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회사와 서브스퀴드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AI 에이전트를 적극 활용하는 차세대 전자 상거래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이 서브스퀴드($SQD)는 어떤 프로젝트일까?
서브스퀴드(Subsquid) - 블록체인의 분산형 인프라
서브스퀴드(Subsquid) - 블록체인의 분산형 인프라
1. 분산형 아키텍처
- 기존 블록체인 데이터는 인퓨라, 알케미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블록체인의 중요한 가치인 탈중앙화 면에서는 상충하는 면이 있음
- 서브스퀴드가 제시하는 '분산형 아키텍쳐'가 해결법. 서브스퀴드로 탈중앙적 문제와 과도한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2. 이를 위한 토크노믹스 구조
- $SQD의 인센티브 구조를 통해 분산 네트워크가 작동
- 노드를 돌리면 $SQD 보상을 받지만 참여시 토큰 스테이킹 필요, 문제발생시 슬래싱됨
- 토큰 홀더들은 노드에 지분을 위임해서 간접적으로 참여가능
- 게이트웨이 운영 역시 토큰 락업량에 비례해 처리 가능한 요청 수 결정
3. SQD의 다음 스텝
네트워크 구조를 더욱 고도화하기 위해 분산 병렬 처리로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SQD 포털, 실시간 분산 스트리밍인 핫블록스, SQD네트워크에서 사용자로 직접 데이터가 전달되는 라이트 스퀴드 등을 개발중
SQD의 아키텍쳐는 기관투자자를 위한 RWA를 위한 블록체인 데이터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오션스트림' (SEC의 암호화폐 테스크포스 테이블에도 참여), 각종 디앱, 그리고 AI에이전트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눈여겨본 리졸브AI에서 인수를 결정한 것으로 보여요.
모두를 위한 분산형 데이터 인프라
💡
리서치, 요약으로 읽어보기 (텔레그램ver)
💡
리서치, 전문으로 읽어보기 (웹페이지ver) 리서치, 전문으로 읽어보기 (웹페이지ver)
타이거 리서치 링크소개
Research |
Telegram |
Twitter |
LinkedIn
#SQD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