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yer3: 행동 데이터로 시장 심리를 재정의하다. #kol
✅ Web3 시장의 문제점
- Web3 시장은 여전히 정보 비대칭에 시달리고 있음
- 대부분의 심리 분석은 트위터 언급, 디스코드 활동 등 소셜 지표에 의존하지만, 이는 쉽게 조작 가능
- 결과적으로 '마케팅 예산이 많은 프로젝트'가 지표를 독점하고, 실제 유저 기반 프로젝트는 묻힘
✅ 해결책: 행동 데이터 기반 분석
- 온체인 행동 데이터는 가짜가 불가능함
- 사용자의 실제 거래, 브리지, 스테이킹 등은 '비용이 수반된 행동'으로 신뢰성이 높음
- Layer3는 이를 활용해 시장의 진짜 심리를 추적함
✅ Layer3의 성과
- 45개 체인, 1억 6천만 건 이상의 온체인 행동 데이터 수집
- Base 유저 유지율 11.3배, 사용자당 평균 1,525건 트랜잭션
- 연 매출 1,650만 달러 / 월간 방문자 190만 명
✅ CUBE 시스템
- 사용자 행동을 NFT로 기록하는 영구 자격 증명(Credential) 구조
- 이미 6천만 개 이상 발행, 프로토콜 간 신뢰 검증 가능
✅ Signal: 행동 기반 관심 지수
- 단순한 버즈량이 아닌 '참여 전환율'을 지표화
- 진짜 유입 효율이 높은 프로젝트를 조기에 포착 가능
✅ 검증된 시장 영향력
- Layer3 유저는 아비트럼 에어드롭 20%, zkSync 29% 차지
- Robinhood와 협업해 수백만 명 대상 Web3 행동형 교육 진행
✅ 결론
- 행동 데이터가 Web3의 새로운 언어가 되고 있음
- Layer3는 'InfoFi → ActionFi' 시대의 시작점
- 진짜 유저의 행동이 다음 시장의 평가 기준이 되는 중
원문

798
5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