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885
9시간 전
cobak_alert/2029/6307598115350973314
이더리움(ETH) 최근 근황 정리 ··· 4분기 상승마감 가능할까? 🔥 3분기, 상장기업 매수 규모 - 상장기업들은 7월부터 9월까지 단 3개월 동안 이더리움 공급량의 약 4%를 매수 - 데이터에 따르면, 상장기업이 보유한 이더리움의 95%가 지난 분기 동안 새롭게 매수됨 - Bitwise에 따르면 9월 30일 기준 상장기업 재무제표에 기록된 이더리움은 총 463만 개, 이 중 약 400만 개가 3분기 내 매수된 것으로 집계 📈 4분기, 이더리움 상승? - 3분기에 집중된 기관 매수세로 인해, 4분기 이더리움 가격 방향성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 - 과거 평균적으로 이더리움은 1분기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이후 2분기, 4분기, 3분기 순으로 수익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 - 다만, 이번 3분기에는 기관 수요에 힘입어 약 66% 상승으로 마감 - 분석가들은 4분기에도 기관 매수세가 이어지고,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가 승인될 경우 강한 상승 랠리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 💬 이더리움 공급 줄고 수요 증가? - 현재까지 상장기업들은 전체 공급량의 약 4.9%를 매수 - 미국 현물 이더리움 ETF는 684만 ETH(전체의 5.6%)를 보유 - 스테이킹된 ETH는 약 3,570만 개로 전체 공급량의 약 30% - 즉, 전체 공급량의 약 40%가 잠재적으로 매도될 수 없는 상황 - 전문가들은 이를 ‘공급 진공(supply vacuum)’ 현상으로 평가하며,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구조적 요인으로 보고 있음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YB 새벽사이 코인베이스도 가서 혹시나 하다가 약속...다음 - 구호 참소 바랍니다 🫡🫡
cobak_alert/6235274044358374912
코박 얼럿 (Cobak Alert)
@cobak_alert
대한민국 No.1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입니다 코박 텔레그램은 여러분께 쉽고 정확한 투자정보를 제공합니다 코박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의 몫입니다. 문의 : @cobak_alert12 코박 홈페이지: https://cobak.co.kr/ 코박 커뮤니티: https://cobak.co.kr/community/all 코박 뉴스: https://cobak.co.kr/news/news_home
최근포스팅
⚡️ 코박라이브 정답 공개⚡️ (1) 스테이블코인의 가치가 달러 등 기준 자산과의 고정이 깨지는 현상 (2)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정책 (3) 프라이스리스 👆🏻반짝이를 터치하면 정답이 표시됩니다
viewCount334
8시간 전
🍯 코박라이브 힌트 공개! 🐝 📌 1번 문제 힌트 최근 바이낸스에서 디페깅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디페깅(depegging)의 뜻을 알고 계신가요? 힌트 찾아보기 📌 2번 문제 힌트 파월 의장이 양적긴축(QT) 종료 가능성을 언급해 화제가 되었습니다. QT는 돈을 푸는 정책(QE)의 반대 개념이라는 사실! QT가 종료되면 시장엔 호재겠죠? 관련 뉴스 보러가기 📌 3번 문제 힌트 마스터가드가 한국 특허청에 '가상화폐 결제처리업'을 포함한 상표를 출원했다고 합니다. 이 상표의 이름을 찾아보세요! 관련 뉴스 보러가기 🔥코박라이브는 잠시 후 3시에 시작합니다🔥
viewCount396
8시간 전
에테나 USDe 디페깅 사건 정리 ··· Ethena is good 📉 USEe 디페깅 사태 - 지난 금요일, 시장 급락 당시 에테나(Ethena)의 스테이블코인 USDe가 바이낸스에서 $0.65까지 급락하며 디페깅 현상이 발생 - 이로 인해 ‘통합 거래 계좌(Unified Account)’를 이용하던 투자자들이 대규모 청산 위험에 직면 - 당시 USDe 청산 규모는 약 3억 4600만달러 수준을 기록 ‼️ 진짜 디페깅은 아니였다? - USDe의 디페깅 현상은 오직 바이낸스에서만 발생한 현상이었으며, 글로벌 디페깅은 아니였음 - Curve 등 주요 탈중앙화 플랫폼에서는 USDe 가격 변동이 훨씬 제한적이었으며, Bybit 거래소에서도 $0.92까지 완만하게 하락 💬 바이낸스, USDe 디페깅 원인 - 문제의 핵심은 바이낸스 내부 오라클 설계 결함과 낮은 유동성 - USDe의 거래는 대부분 Curve, Uniswap 등 탈중앙화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며, 이들 시장은 수억 달러 규모의 풍부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음 - 반면, 바이낸스 내 USDe 유동성은 약 8,000만 달러 수준에 불과 - 따라서 바이낸스는 자체 오더북 가격이 아닌 Curve 등 주요 고유동성 시장의 가격 데이터를 오라클 기준으로 삼았어야 했지만, 이를 반영하지 못함 - 다행히, 바이낸스는 이번 디페깅으로 인한 강제청산 피해자들에게 보상하겠다고 발표 ✏️ 정리 - 이번 사태는 ‘USDe의 구조적 결함’이 아닌 ‘바이낸스의 오라클 및 시스템 설계 문제’에서 비롯된 일시적 현상 - USDe의 핵심 페그 구조는 전혀 흔들리지 않았으며, 공급량이 90억 달러에서 60억 달러로 즉시 축소되는 과정에서도 기초 포지션 청산 없이 상환(redemption)이 원활히 진행됨 - 이번 사건은 오히려 Ethena의 상환 메커니즘이 얼마나 견고한지 입증한 사례로 평가됨
viewCount413
1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