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undless, $ZKC 스테이킹 해볼만 할까?
최근 Boundless의 업빗썸 유의지정이 해제되었는데요. 개인적으로 $ZKC 현물 수량을 보유 중인 것도 있어서 스테이킹 관련 정보 짧막하게 작성해보았습니다.
✅ 스테이킹 목적
- 네트워크 보안 및 합의 참여
- 프로토콜 스테이킹: 단순 예치형
- 증명자(Prover) 스테이킹: PoVW 연산 과정 참여
✅ 스테이킹 구조
1️⃣ Epoch 시스템 차용
- 스테이킹 보상은 매 48시간마다 정산 및 보상
2️⃣ 보상풀
(1) Passive Staking Pool: 25% 할당, 모든 $ZKC 스테이커 균등분배
(2) Prover Pool(PoVW): 75% 할당, 에포크당 검증된 사이클에 따라 Prover 비례 분배
3️⃣ 언스테이킹
- 언스테이킹시 30일간의 유예기간 적용
✅ 스테이킹 현황
- 현재 18 Epoch 진행 중
- 이율: 현재 111% APR 적용 (향후 점진적 감소하여 최저 3%까지)
- 활성 스테이커 약 1,490명 / 활성 Prover (Miner) 41명
- 총 스테이킹 수량: 18,712,001 $ZKC (약 5m 규모)
- 누적 스테이킹 리워드: 약 5,700,000 $ZKC (스테이커: 177만)
- 스테이킹 페이지 내에서 관련 정보 확인 가능
✅ 스테이킹 후기
- ZKC 출시 첫 날 테스트 삼아서 스테이킹 진행해봤음
- 1 ZKC당 0.2 ZKC 리워드가 나왔음
- TGE 첫 날 스테이킹 했을 때 현재까지 약 20% 정도 수량이 늘어남
- 지난 한달 APR로 따져보면 약 240%
- 아마 초기에 대시보드 표기 이율보다 훨씬 높았던 것으로 기억
- 현재는 대시보드 표기 이율 적용 중인듯 함
✅ 개인적인 생각
- 여전히 ZKC 현물로 들고 있는게 좀 있고 현재 APR도 나쁘지 않은 편이라 추가 스테이킹 고려 중
- 최근 업빗썸 유의해제 전후로 나온 가격상승분 때문에 음펀비가 좀 껴있는 상황이라 펀비 해소 이후 헷징 잡고 해볼만한 듯?
- 다만 언스테이킹시 30일이 소요되는 부분이 많이 아쉬움 이 기간을 반드시 고려해봐야 할 요소

335
48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