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16z 의 상가포르 토큰2049 후기
✅ 이번 Token2049 기간 동안 싱가포르에서의 일정은, 아시아 암호화폐 시장이 얼마나 빠르게 성숙해지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자리였습니다.
a16z crypto 팀은 규제 기관, 로컬 창업자, 기관 투자자 등과의 대화를 통해 제도권 실험, 기관 참여, 리테일 행동 변화라는 세 가지 축에서의 진화를 분석했습니다.
🇸🇬 싱가포르: 제도권 혁신의 실험실
🟢싱가포르통화청(MAS)은 글로벌 규제기관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인 디지털자산 실험 국가
🟢Project Ubin, Project Guardian, Project Onchid 등 블록체인 +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여러 실험을 진행중
🟢이들 프로젝트는 기술적 완성도는 높지만, 파일럿 이후 상용화 단계로의 전환이 지연되고 있다는 점이 공통된 과제
🟢Grab / Alipay+의 StratsX 기반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가 실제 상용화 사례
🇭🇰 홍콩 & 싱가포르: 기관 중심 허브의 양대축
🟢두 지역 모두 기관 중심의 실험 및 샌드박스 모델이 활발하지만,
상용화까지의 시간과 자원 소모가 크다는 점이 공통된 피드백
🟢특히, 규제 불확실성과 복잡한 승인 절차가 프로젝트 확장 속도를 늦추는 요인
🇰🇷 한국: 리테일이 주도하는 ‘참여형 시장’
🟢한국은 기관보다 리테일이 시장의 주역, 크립토투자 = 일상적인 금융활동으로 자리잡은 나라
🟢스스러 투자하는 문화가 일찍부터 뿌리를 내려서 암호화폐 투자로의 전환이 자연스러움
🟢40~60대 연령층이 주 구매력층으로, 여전히 ‘재정적 독립’을 위한 수단으로 크립토를 인식
🟢이로 인해 L1,L2, 그리고 토큰 모델 기반의 앱 프로젝트들이 빠르게 시장반응을 얻는 환경이 형성이됨
🟢일부 프로젝트는 기술력보다는 단기 마케팅 중심의 투기성 설계로 피로감 유발
🇯🇵 일본: 조용하지만 꾸준한 진화
🟢주요 금융그룹과 은행들이 토큰화 및 디지털자산 실험을 가속화 중.
🟢다만, 진행 속도는 느리고 ‘과도한 커스터마이즈 POC(개념증명)’에 갇힐 위험이 존재
🇺🇸 미국: 명확한 규제와 상용화 기회의 확대
🟢규제 명확성이 개선되면서 실제 프로덕션 단계로의 전환이 활발
🟢기관 도입을 목표로 하는 팀이라면 미국 시장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도 유효
🤓 a16z의 결론
🟢APAC 시장은 "싱가포르, 홍콩" 처럼 제도적 중심의 진화와 한국과 같이 빠르고 대중적인 리테일 중심으로 나뉘고 있다
🟢한국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현지 커뮤니티와 밀착된 네트워크 및 문화적 이해가 필수
전문보러가기
#ai16z #한국 #홍콩 #싱가포르

3022
4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