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사태 정리 ··· 중앙화 클라우드 인프라에 의존하는 탈중앙화 플랫폼
❓무슨일이?
-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 데이터 센터 장애로 인해 코인베이스, 로빈후드 등 여러 주요 플랫폼의 모바일 앱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등 문제가 발생
- 여러 사용자들은 로그인, 주문, 출금 등 핵심 기능을 이용할 수 없게됨
- 이번 AWS 장애는 정기적인 클라우드 유지보수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결과적으로 광범위한 인터넷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짐
💰 자산 · 보안 피해 발생 여부
- 거래소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었지만, 고객 자산 손실이나 보안 침해는 발생하지 않음
- 고객 자산이 인터넷과 완전히 분리된 오프라인 콜드월렛에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
- 이러한 장애는 프론트엔드 접속이나 거래 실행에만 영향을 미칠 뿐, 자산의 실제 보관(custody)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음
📌 AWS는 무엇인가?
-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전 세계 기업, 정부 기관, 스타트업 등에 클라우드 컴퓨팅, 주문형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인프라 플랫폼
- 기업들은 자체 물리 서버를 보유·운영하는 대신, AWS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파워를 임대받아 효율적으로 운영
- AWS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와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음
📌 AWS 사용 이유
- 기업들이 AWS와 같은 중앙화 클라우드 인프라에 의존하는 이유는, 직접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려면 수년이 걸리기 때문
- 반면 AWS를 사용하면 단 며칠 만에 글로벌 확장이 가능함
- 또한 AWS는 규제 기관과 감사 기준을 충족하는 보안·컴플라이언스 체계를 이미 갖추고 있어, 기업 입장에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용이함
- 현재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비트멕스, 후오비, 크립토닷컴, 크라켄 등 세계 주요 거래소들이 AWS를 사용
“AWS가 재채기하면, 인터넷 전체가 감기에 걸린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번 사태는 단일 클라우드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준 사례로 평가

1552
1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