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316
12시간 전
⚡️ 코박라이브 정답 공개⚡️ (1) 푸사카 (2) 예측시장 (3)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반짝이를 터치하면 정답이 표시됩니다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곰지네 CVD 봇 알리미 (BTC) 🔥 ✅ C...다음 - 🗞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2강 흔드는 ‘다크호스’…바...
cobak_alert/6235274044358374912
코박 얼럿 (Cobak Alert)
@cobak_alert
대한민국 No.1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입니다 코박 텔레그램은 여러분께 쉽고 정확한 투자정보를 제공합니다 코박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의 몫입니다. 문의 : @cobak_alert12 코박 홈페이지: https://cobak.co.kr/ 코박 커뮤니티: https://cobak.co.kr/community/all 코박 뉴스: https://cobak.co.kr/news/news_home
최근포스팅
이더리움, 12월 예정된 Fusaka 업그레이드는 무엇인가? 💬 이더리움 메인넷 업그레이드 소식 - 12월 3일, 이더리움 ‘Fusaka’ 업그레이드 예정 - 지난 5월 ‘Pectra’ 이후 진행되는 가장 큰 메인넷 업그레이드 - Fusaka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 로드맵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됨 ❓ Fusaka 업그레이드란? - 푸사카(Fusaka)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의 확장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구조 개편 업그레이드’ - 이번 업그레이드의 핵심 기능은 ‘PeerDAS(Peer Data Availability Sampling)’ - PeerDAS는 블록당 블롭(blob) 용량을 2배로 확대하고, 각 노드가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지 않고도 데이터의 가용성을 검증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하드웨어 부담이 줄어들고, 레이어2(롤업) 트랜잭션 수수료 급등 문제를 완화하며 처리 속도와 확장성이 함께 개선될 것으로 기대됨 🎙 비탈릭 부테린 인터뷰 내용 - 비탈릭은 “처음에는 안정성을 위해 블롭 수가 보수적으로 늘어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적극적으로 확장될 것이라며 이더리움의 확장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 - 이더리움 리서처는 Fusaka 업그레이드 이후 최대 블롭 수가 현재 9개에서 15개로 늘어나고, 2026년 1월에는 21개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분석 ✏️ 블롭(blob)이란? - 블롭(blob)은 2024년 3월 진행된 Dencun 업그레이드(EIP-4844)를 통해 처음 도입된 이더리움의 특수한 데이터 저장 구조를 의미 - 이 구조는 레이어2 롤업(L2 Rollup)이 대량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됨 정리 - Fusaka 업그레이드의 핵심 목적은 레이어1과 레이어2의 확장성 개선 및 네트워크 효율성 강화 - PeerDAS와 블롭 확장을 통해 트랜잭션 처리량이 증가하고 수수료 급등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
viewCount1448
12시간 전
🍯 코박라이브 힌트 공개! 🐝 📌 1번 문제 힌트 12월에 예정된 이더리움의 업그레이드 소식! 지난 5월 '펙트라' 업그레이드에 이어 진행되는 중요한 업데이트입니다. 이번 업그레이드 이름을 잘 찾아보세요! 관련 내용 보러가기 📌 2번 문제 힌트 창펑자오(CZ)가 최근 이 분야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아래 뉴스 기사를 통해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기사 보러가기 📌 3번 문제 힌트 전 세계 대부분의 거래소와 스타트업이 이용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플랫폼 'AWS'의 뜻을 아시나요? 기사 보러가기 🔥코박라이브는 잠시 후 3시에 시작합니다🔥
viewCount417
13시간 전
AWS 사태 정리 ··· 중앙화 클라우드 인프라에 의존하는 탈중앙화 플랫폼 ❓무슨일이? -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 데이터 센터 장애로 인해 코인베이스, 로빈후드 등 여러 주요 플랫폼의 모바일 앱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등 문제가 발생 - 여러 사용자들은 로그인, 주문, 출금 등 핵심 기능을 이용할 수 없게됨 - 이번 AWS 장애는 정기적인 클라우드 유지보수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결과적으로 광범위한 인터넷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짐 💰 자산 · 보안 피해 발생 여부 - 거래소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었지만, 고객 자산 손실이나 보안 침해는 발생하지 않음 - 고객 자산이 인터넷과 완전히 분리된 오프라인 콜드월렛에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 - 이러한 장애는 프론트엔드 접속이나 거래 실행에만 영향을 미칠 뿐, 자산의 실제 보관(custody)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음 📌 AWS는 무엇인가? -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전 세계 기업, 정부 기관, 스타트업 등에 클라우드 컴퓨팅, 주문형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인프라 플랫폼 - 기업들은 자체 물리 서버를 보유·운영하는 대신, AWS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파워를 임대받아 효율적으로 운영 - AWS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와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음 📌 AWS 사용 이유 - 기업들이 AWS와 같은 중앙화 클라우드 인프라에 의존하는 이유는, 직접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려면 수년이 걸리기 때문 - 반면 AWS를 사용하면 단 며칠 만에 글로벌 확장이 가능함 - 또한 AWS는 규제 기관과 감사 기준을 충족하는 보안·컴플라이언스 체계를 이미 갖추고 있어, 기업 입장에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용이함 - 현재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비트멕스, 후오비, 크립토닷컴, 크라켄 등 세계 주요 거래소들이 AWS를 사용 “AWS가 재채기하면, 인터넷 전체가 감기에 걸린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번 사태는 단일 클라우드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준 사례로 평가
viewCount1552
1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