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6298
2일 전
enjoymyhobby/92418/6057592780629937168
속보] 트럼프 “우리는 합의를 이뤘다”…관세협상 타결 시사 #국내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바이낸스(Binance) 공지 Join the KERN...다음 - [속보] 트럼프 "한국과 무역 합의 타결" https...
enjoymyhobby/6206208557557332957
취미생활방📮
@enjoymyhobby
비트코인 & 경제 & 재테크정보를 공유드리는 방입니다 모든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https://x.com/CryptoMyhobby * 홍보, 후원, 광고 : @KimYoungTaek 문의
최근포스팅
📕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10월 마지막주 주요이슈 이번 주는 미국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한 주였다. 기본적인 지금 시장의 방향은 아직 강세장이 유지되고 있으나 모멘텀에 대한 확인작업이 이루어 지고 있고, 미국의 스탠딩 레포 이슈로 제한된 유동성 내에서 다른쪽에서 자금이 빠져 주식(AI)으로 흘러들어가는 모양새가 계속되고 있다. 그로 인해 크립토 및 금은 힘을 못 쓰고 있으나, 반도체와 주요 지수는 계속 랠리를 이어가는 '가는 것만 또 가는 시장'이 계속되고 있다. 주요 소식들을 하나씩 알아보자. 1️⃣ 거시·경제 성장 이번 주 CBO는 연방정부 셧다운이 4분기 실질 GDP를 최대 –2%p까지 낮출 수 있다고 경고했다. 셧다운은 오늘 기준으로 30일째 접어들었으며, 이는 역사상 두 번째로 긴 기간이다. 6일 이후에 미국 역사상 제일 긴 셧다운으로 기록된다. 한 편에서는 셧다운으로 인해 미국 연방정부의 지출이 정지된 상태는 미국의 재정지출을 뒤로 미룰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에 트럼프가 강경하게 나선다라는 시선도 있기는 하다. 그러나 9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약 +3.0%로 집계 되면서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가 일부 지연. 그와 함께 미국 통계 발표가 지연되며며, 셧다운이 길어지는 것으로 인하여 성장률 감소가 일어날 시, 소비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 역시 우려 대상이다. "법원은 트럼프 정부가 셧다운이라고 SNAP(식료품 보조금) 지급을 중단할 수 없다고 판결." 트럼프 반대편의 행보 또한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요인이며, 트럼프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미국의 셧다운이 장기화 되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분명하다. 2️⃣ 통화·금리 정책 이와 같은 데이터로 인하여, Fed의 지역연은 중진인사들이 이달 금리 인하에 반대 의견을 냈다. 연준 해맥 총재 - 은행 시스템은 일련의 디폴트 사이클을 겪더라도 버틸 수 있을 것. - 나라면 금리 인하하지 않았을 것. 연준 로건 총재 -이번에 표결했다면 금리 동결에 투표했을 것. -12월 인하도 필요 없음. 연준 슈미트 총재 -인플레이션 높고 잠재적으로 확산될 수 있어. -노동 시장은 균형 상황이고 금리인하로는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 가능성. 이와 같은 매파적인 연준 의원들의 행보는 얼마전과는 분명히 달라보이는 모습. QT를 조기 중단하면서 시장이 흥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방책으로 보이기도 하나, 실제로 미국 경제가 튼튼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금리인하를 지속하는 것은 데이터 상으로도 애매한 상황. 특히나 이번 FOMC 때 파월이 12월 1일 QT 중단을 확정지은 것과, 금리인하를 단행한 것. 그리고 12월에는 인하가 확정이 아니라고 발언한 것 자체가 미국의 단기 유동성 시장이 타이트한 것을 인정해 버린 꼴. 이는 금리 인하를 선반영 하고 있는 시장에 단기적으로 충격을 줄 수 있으며, 은행의 위험을 한번에 터뜨릴 가능성이 존재. 실제 연준의 스탠딩 레포로 돌아가고 있는 단기 유동성 시장은 현재 코로나 이후 최고치이며, 연준이 지속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지 못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 여기에 미국의 셧다운이 더해지며, 시장은 파티를 즐기고 있지만 시장을 부양할지, 셧다운을 해제할지, 아니면 시장을 한번 무너뜨려 레버리지를 정리할 지 포지션을 분명히 해야 하는 상황. 3️⃣ 금융시장·채권·투자 이로 인해 미 국채 수익률이 이번 주에 상승마감 되었으며, 연준의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달러 인덱스 또한 상승 마감 되었다. 4️⃣ 기업·고용·소비 반대편에서 기업은 해고를 단행하고 있으며, "Amazon 1.4 만명, UPS 4.8 만명 대규모 해고 발표." K-자형 회복 흐름이 강화되는 모습들이 보이는 중. 전에 한번 언급한 적 있지만 해고를 많이 한다기 보다 고용이 줄어들며 장기적인 침체로 들어갈 가능성 또한 걱정해야 하는 리스크 중 한가지. 또한 미국 경제가 AI 중심으로만 재편되고 있으며, 이번 주 NVDA가 시가총액 5조 달러를 달성. 이는 독일의 GDP를 능가하는 금액이다. 5️⃣ 지정학 미국이 베네수엘라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는 뉴스. 그러나 트럼프는 이에 대해 부정. 미국이 러시아의 주요 석유기업인 Rosneft 및 Lukoil에 제재를 부과 APEC을 통해 중국과 미국의 무역 마찰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증시에 긍정적 반응. ✍️정리 다음주부터 미국의 써머타임이 종료되어 정규장이 11:30~6:00으로 변경된다.(한국시간) 주요 지표들은 셧다운이 지속되면 계속 지연될 것이고, 미-중 갈등은 완화되는 듯 보이나 영국과 미국내에서 유동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계속 되고 있는 상황이다. 11월 NVDA의 실적발표가 예정되어 있는데, 아마존, 구글, 메타 실적을 보면서 느꼈겠지만, 실적이 미스나면 무섭게 무너지고 있는 상황이다. 시장의 난이도가 너무 높아졌다. #국제
viewCount4590
1시간 전
💵 테더 25년 누적 순이익 100억 달러 돌파 ✅ 테더의 2025년 1~3분기 누적 순이익이 100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 25년 3분기 회계보고서 🟢테더의 2025년 1~3분기 누적 순이익이 100억 달러를 돌파 🟢발행된 USD₮ (테더 달러) 는 3분기 동안 170억 달러 이상 신규 발행, 전체 유통량은 1,740억 달러를 초과 🟢미국 국채 보유액 1,350억달러 🟢금 보유량 129억 달러 🟢비트코인 보유량 99억달러 🟢엘살바도르에서 사모펀드 라이선스 신청 완료, 🟢향후 AI·에너지·통신 인프라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 예정. 기사보러가기 #테더 #TETHER
viewCount8289
15시간 전
🇺🇸 미국 패스트푸드체인 Steak 'n Shake 가 공식적으로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을 도입 이제 매장에서 비트코인으로 받는 모든 결제 금액은 전부 회사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에 예치된다고 합니다 #BTC
viewCount7558
16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