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30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홍콩 증선위 위원장 “기업 ‘암호화폐 비축’ 규제안 마련 검토”]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 위원장 황텐유(黃天祐, Kelvin Wong Tin Yau)은 “현재 홍콩에는 상장사의 암호화폐 비축 전략을 규제하는 명확한 법규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련 가이드라인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콩 매체 원웨이포에 따르면 그는 “홍콩 상장사 가운데 암호화폐 비축 전략(DAT)을 도입하려는 곳들이 부쩍 늘었다. 투자자들은 DAT에 대한 리스크를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ETH 현물 ETF 1153억원 순유출...블랙록만 순유입]
29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 현물 ETF에서 8107만 달러(1153억원)가 순유출됐다고 트레이더T가 집계했다. 순유입으로 전환한 지 하루 만에 다시 순유출로 돌아섰다. 피델리티 FETH에서 6949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ETH와 ETHE에서 각각 1618만 달러, 1283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반면 블랙록 ETHA만 유일하게 2174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시진핑 미중관계, 역풍 있더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미중 정상회담에서 여러 바람, 역풍, 도전과제가 있다고 해도 미중 관계는 올바른 길을 향해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시 주석은 이날 부산 김해공항 공군기지 내 접견장인 나래마루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미중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미중 관계는 전반적으로 굉장히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국가 상황이 항상 다르기 때문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것이라고 밝혔다.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 $4355만 BTC 크라켄 추가 입금]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로 알려진 오웬 건던(Owen Gunden)이 크라켄에 395.8 BTC(4355만 달러)를 추가 입금했다고 온체인렌즈가 전했다. 오웬 건던은 전날 1447.56 BTC(1억6319만 달러)를 크라켄에 입금한 바 있다.
[BTC 채굴업체 ‘아이오닉 디지털’ IPO 다시 시동]
비트코인 채굴회사 아이오닉 디지털(Ionic Digital)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기업공개(IPO) 신청서(S-1)를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 8월 아이오닉 디지털은 CEO 퇴임 및 회계 감사 계약 종료 등을 이유로 IPO를 한 차례 연기한 바 있다.
[지케이패스, ZKP 토크노믹스 공개]
영지식 증명(zk) 기반 데이터 검증 프로토콜 지케이패스(zkPass)가 자체 토큰 ZKP 토크노믹스를 공개했다. 총 발행량은 10억 개이며, 이중 48.5%는 커뮤니티에, 22.5%는 초기 투자자에, 14%는 핵심 기여자에, 10%는 다오(DAO) 트레저리에, 5%는 유동성에 할당된다. ZKP는 밸리데이터 스테이킹, 커뮤니티 참여 등 지케이패스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이라는 설명이다.
[스페이스X, $3128만 BTC 신규 지갑으로 이체]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SpaceX) 관련 지갑이 281 BTC(약 3128만 달러)를 신규 지갑으로 추가 이체했다고 온체인 분석업체 룩온체인이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이체는 커스터디 목적일 가능성이 높으며, 최근 10일간 세 차례에 걸쳐 BTC 보유분이 옮겨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스테이블, 모포에 $7.75억 사전 예치 계획]
비트파이넥스가 주도하는 스테이블코인 특화 레이어1 블록체인 스테이블(Stable)이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모포(MORPHO)에 7.75억 달러 규모 사전 예치를 집행한다고 더디파이언트가 전했다. 해당 자금은 디파이 리스크 관리 프로젝트 건틀렛이 관리하는 모포 볼트에 분산 예치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4일 스테이블은 사전 예치 캠페인을 오픈했으며 10분이 안되는 시간 동안 8.25억 달러가 몰리며 예치 한도가 마감된 바 있다.
[아이큐, 원화 스테이블코인 KRWQ 베이스서 최초 출시]
탈중앙화 인공지능(AI) 및 블록체인 기술 개발사 아이큐(IQ)가 프랙스 파이낸스(FXS)와 협력해 코인베이스 레이어2 베이스 최초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KRWQ를 출시한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KRWQ는 레이어제로(ZRO)의 옴니체인 대체가능토큰(OFT) 표준과 스타게이트(STG) 브릿지를 기반으로 구축됐으며, 멀티체인 거래를 지원하는 최초의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다. 아이큐는 프랙스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는 frxUSD를 중심으로 하며, 블랙록 비들 펀드의 지원을 받는다. 프랙스는 토큰화된 미 국채를 준비금으로 사용하며, 미국 스테이블코인 법안 지니어스(GENIUS)를 준수한다. KRWQ는 이와 동일한 모델을 원화로 확장한 것으로, 규제 준수와 법적 안정성을 모두 갖춰 기관들의 채택을 유도할 만하다고 설명했다. 아이큐 최고 브레인 나빈 베타나야감(Navin Vethanayagam)은 KRWQ는 신뢰할 만한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부재했던 시장에서 달러 스테이블코인과의 격차를 줄이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프랙스 설립자 겸 CEO 샘 카제미안(Sam Kazemian)은 프랙스의 목표는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번 KRWQ 출시는 이런 모델을 원화로 처음 확장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레이어제로랩스 CEO 브라이언 펠레그리노는 KRWQ는 상호 연결성이 강화된 글로벌 금융 시스템으로 향하는 중요한 단계다. 우리는 원화 등 법정화폐 기반 자산이 여러 체인에서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 “은행들 스테이블코인에 반감…현실 모르는 탓”]
코인베이스 최고정책책임자(CPO) 파야르 쉬자드(Faryar Shirzad)가 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갖는 것은 현실을 전혀 모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그는 “스테이블코인 수요 대부분은 미국 외 국가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는 미국 현지 은행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달러의 지배력을 확대하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은행들은 의회에 스테이블코인의 영향력이 확대될 경우, 대규모 은행 예금이 이탈할 수 있고 금융시스템 위험을 키운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낸 바 있다.
[바이낸스US “USD1 상장, 자오창펑 사면과 무관”]
바이낸스US가 월드리버티파이낸셜의 스테이블코인 USD1 상장은 자오창펑 바이낸스 설립자 사면과 무관한 비즈니스 결정이라고 밝혔다.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상원의원 크리스 머피(Chris Murphy)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오창펑을 사면한 직후 바이낸스가 그 보답으로 USD1을 상장했다고 주장했다. 바이낸스US는 “USD1은 이미 코인베이스, 로빈후드, 크라켄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됐다. 이번 상장은 바이낸스US 상장위원회가 사면 전에 이미 승인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리버, 리버포인트 퍼블릭 세일 마감… 2.5시간만 $320만 조달]
체인 추상화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리버(River)가 지난 29일 시작한 리버 포인트 퍼블릭세일이 2시간 30분 만에 완판됐다고 밝혔다. 리버 측은 이번 세일을 통해 총 5000만 개의 리버포인트가 판매돼 2,908 BNB(약 320만 달러)가 조달됐다. 최종 낙찰가는 1Pt당 0.0000447 BNB(약 0.048달러)로 결정됐다. 모든 참여자는 10월 31일 23시(한국시간)부터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리버포인트 수령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퍼블릭세일 종료 직후 탈중앙화거래소(DEX)에서 리버포인트 가격은 0.034 달러에서 0.048 달러로 약 40% 급등한 바 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