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1. H가 운용하는 볼트는 H,A,B,C,D로 쪼개져서 다른 볼트로 재예치되는 형태임.
2. 그 중에 A예치한 30%만 지급 중단 사태가 벌어짐.
3. H는 정상적인 70%만 돌려줌
4. 손실난 30%는 매꿔주기 보단 다른 방법으로 처리를 하기로 한 모양
(애초에 큐레이터가 매꿔줄 의무도 없긴함)
5. A에 묶인 채권으로 돌려주고 알아서 기다리거나 보상 요구를 해야함
6. 이제 H에 예치한 사람들은 H와 관계없는 채권을 돌려받고 H와 아무 연결고리가 없어짐.
https://x.com/hyperithm/status/1990034616774779295
요약
Earn Vault 토큰 보유자는 예치 금액의 약 70%에 해당하는 mHYPER Hyperithm Lending Vault 토큰을 받게 됩니다.
Earn Vault 토큰 보유자는 Re7 xUSD Lending Vault 포지션에 대한 권리를 유지합니다.
하이퍼리즘에서 운용하던 플라즈마 볼트에 최근 문제가 발생했는데, 문제가 되지 않은 70퍼센트의 돈은 돌려주고 30퍼센트는 문제가 해결되면 돌려받을 수 있는 청구권으로 돌려준다네요.
스트림 파이낸스에서 이미 90M 가량의 손실을 인정한 상태이며, 이런 문제는 법적으로 가면 아주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사실상 잊고 살아야될 겁니다. 부실담보를 안아가고 일단은 출금을 해주지 않겠냐는 의견도 많았지만 이렇게 진행하기로 결정한 것 같습니다.
Morpho나 Euler에 있는 큐레이터들이 여러분들보다 운용을 훨씬 잘할 수 있고, 큰 수익을 줄 수 있지만 위험은 오직 여러분의 책임으로 돌아갑니다. 누군가 내 돈을 잘 굴려줘서 쉽게 벌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자기 돈은 자기가 관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