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150
2시간 전
cobak_alert/2064/6120489535843011418
최근 파이코인은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 5천만 노드를 활용한 탈중앙 AI 실험 📊 Pi Network 규모 - 파이 네트워크 생태계에는 약 5천만 명의 유저가 존재 - 이들은 노트북이나 모바일에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파이 노드’ 역할을 수행 - 동시에 대규모 리테일 크립토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이기도 함 - 개별 기기의 성능은 크지 않지만, 엄청난 규모의 사용자 기반 + 전 세계에 분산된 노드 네트워크라는 구조는 매우 큰 강점 💬 Pi Network의 잠재력 - 파이는 이미 거대한 사용자 기반과 글로벌 노드 네트워크를 확보한 상태에서 시작한 프로젝트 - 이러한 구조는 탈중앙 AI 프로젝트로 확장하는 데 매우 적합한 기반을 갖추고 있음 - 실제 연구에 따르면, 적절한 인센티브와 검증 구조만 마련된다면 대형 AI 모델도 전 세계에 분산된 하드웨어에서 충분히 실행될 수 있다고 함 - 이론적으로만 보면, 수천만 사용자 + 대규모 노드 레이어 + 토큰 경제 모델이라는 파이의 구조는 탈중앙 AI가 요구하는 조건을 대부분 충족 - 일반적으로 AI 작업은 중앙화된 데이터센터에서 처리되며 전력 소비, 비용이 높고 특정 클라우드 업체 몇 곳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 Pi는 성공할 수 있을까? - 파이는 구조적으로 탈중앙 AI 요건을 갖추고 있지만, 핵심은 AI 개발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로 발전할 수 있느냐는 점 - 실제로 파이 네트워크 벤처스는 OpenMind에 첫 투자를 진행하며 탈중앙 AI 실험을 진행한 바 있음 - 파이 생태계의 노드들 중 약 35만 개의 활성 노드가 자발적으로 참여해 이미지 인식 작업을 수행 - 파이 네트워크 측에 따르면 해당 작업은 안정적으로 처리됐다고 발표 - 이는 AI 에이전트가 거대 클라우드 대신 탈중앙 컴퓨팅 레이어를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사례로 평가됨 ⚠️ Pi에게 남은 과제 - 대부분의 사용자는 모바일·데스크탑 등 일반 기기를 사용하는데, 성능과 환경이 일정하지 않음 - 많은 사용자들이 밤이 되면 기기를 꺼버리기 때문에 이탈률이 높고, 기기 과열·연결 끊김 등의 문제가 잦음 - 따라서 파이 네트워크의 스케줄러는 높은 이탈률을 전제로 작업을 여유 있게 배치하고, 여러 노드에 분산하는 구조가 필수 - 이 외에도 보안·프라이버시·모델 검증 등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남아 있음 - 이러한 이유로 많은 AI 팀들은 비용이 더 들더라도 여전히 검증된 클라우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 - 과연 파이의 실험이 이러한 장벽을 넘어 실제로 탈중앙 AI 인프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할 듯
cobak_alert/6235274044358374912
코박 얼럿 (Cobak Alert)
대한민국 No.1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입니다 코박 텔레그램은 여러분께 쉽고 정확한 투자정보를 제공합니다 코박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의 몫입니다. 문의 : @cobak_alert12 코박 홈페이지: https://cobak.co.kr/ 코박 커뮤니티: https://cobak.co.kr/community/all 코박 뉴스: https://cobak.co.kr/news/news_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