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4
1년 전
6월 22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제미니 제미니 언 사용자에 나머지 3% 암호화폐 현물 상환 준비 완료]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 산하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제미니트러스트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제미니 암호화폐 스테이킹 상품 제미니 언의 운영 중단일(2022년 11월 16일) 기준으로 사용자들에게 반환해야 할 모든 암호화폐 자산을 현물로 100% 지급할 준비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제미니 측은 제네시스가 제미니에게 지급해야할 총액의 약 3%에 해당하는 최종 예치금을 돌려 받았다. 이를 제미니 언 사용자들에게 전액 반환할 것이다. 사용자 입장에서 제네시스가 출금을 중단했을 때보다 237%, 달러 가치로는 10억 달러가 더 회수된 것이다. 전액 현물 상환으로 제미니 언의 출금 중단 사태는 공식적으로 마무리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29일 제미니는 제미니 언에 묶인 사용자 예치금 중 97%에 해당하는 21.8억 달러를 제네시스로부터 돌려받아 사용자들에게 현물로 반환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비트와이즈 CIO BTC+ETH 투자, BTC 몰빵 투자보다 더 큰 수익]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산운용사이자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Matt Hougan)이 “BTC에만 투자하는 것보다 BTC+ETH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미래에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고 하방 리스크 또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가치가 뛰어난 화폐에 최적화된 반면,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화폐’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특성은 근본적으로 다르며 둘 중 하나를 골라 투자하기는 어렵다. 또한 과거 데이터를 봤을때, 4년 동안 누적 수익률은 BTC와 ETH 비중을 70/30으로 할 때(56.32%)가 BTC에만 투자할 때(54.49%)보다 더 높았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암호화폐를 활용한 해외 송금 광고 캠페인 시작]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이 X를 통해 “코인베이스가 미국 유권자를 대상으로 암호화폐가 더 저렴한 송금방법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알리는 광고 캠페인을 시작했다. 코인베이스 최고 정책 책임자 파르야르시르자드(faryarshirzad)는 해당 광고를 통해 유권자와 잠재적 미래 고객에게 암호화폐를 사용하면 해외 송금을 더 저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있다고 전했다.   [익명 고래, 4개월 간 BTC 매집 후 매도...300억원대 수익]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X를 통해 BTC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시기를 포착해 중단기 투자를 선호하는 특정 고래 지갑이 지난 2월 7일부터 5월 13일까지 매집한 물량을 매도해 약 300억원대 수익을 거뒀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3QYQ8로 시작하는 해당 주소는 지난 2월 7일부터 5월 13일까지 평단가 48,821 달러에 약 1,181 BTC를 매집했다. 이후 약 1개월 전 평균 69,113 달러에 752 BTC를 매도했고, 오늘 약 2시간 전 428 BTC를 바이낸스에 입금했다. 이번 매매 종료로 그는 약 2,218만 달러(약 308억원)의 차익을 거둔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원금 대비 약 38%의 수익률을 의미한다. 고래는 지난 11개월간 두 차례의 중단기 투자 전략이 모두 성공해 약 3,120만 달러를 벌었다고 설명했다.   [미 법원, 크라켄-SEC 소송 암호화폐, 투자계약으로 봐야]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법원이 크라켄의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송 기각 요청이 거부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암호화폐를 투자계약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고 본다고 판단했다. 사건 담당 판사인 윌리엄 H. 오릭은 SEC가 의회 승인 없이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는 크라켄 주장에 대해 이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며, (SEC) 규제 권한이 크게 확장되는 거라 볼 수도 없다고 말했다. 또한 크라켄과 SEC에 공개 자료 제출을 지시하면서 디스커버리 절차(재판 개시 전 증거와 서류를 상호 공개해 쟁점을 명확히 하는 과정)에 1년 정도 소요될 거라 덧붙였다.   [데이터 월간 스테이블코인 송금 규모 $1조 돌파, 4년간 10배 증가]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토큰터미널이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월간 스테이블코인 송금 규모가 지난 4년간 약 10배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토큰터미널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17종의 스테이블코인 이체량을 추적한 결과 지난 2020년 8월 1,000만 달러 규모의 월간 이체량이 2024년 3, 4, 5월 각각 1조 달러를 상회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비자(Visa)의 2023 회계연도 거래량은 약 15조 달러 수준이다   [인도 당국, 암호화폐 악용 $2.23억 규모 돈세탁 주범 체포]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인도 금융범죄수사국(ED)이 암호화폐를 악용해 2.23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세탁하고 캐나다 및 홍콩으로 불법 송금한 일당의 주범 마니딥 마고(Manideep Mago)를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ED는 일당은 델리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185.8억 루피(약 2.23억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매도해 현금화하고 총 350억 루피 이상의 자금을 캐나다, 홍콩 등 국가로 불법 송금했다. 이에 가담한 하왈라(중동권 불법 송금 시스템) 신디케이트는 해당 자금을 활용해 불법 암호화폐 채굴 및 차익 거래에 막대한 투자를 했으며, 공인 회계사와 은행 관계자도 연루됐다는 정황을 포착했다. 이들은 암호화폐의 출처를 밝히지 않고 현금 입금을 처리하기 위해 7만 개의 가짜 명의 및 송장을 악용했다고 설명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