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생활방 리서치 Written by "SB"
📌8월 첫째주 위클리이슈-2
12. 실업률에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이야기했는데, 구직을 포기한 사람들까지 지표에 포함되기 시작한다면 실업률이 어느정도까지 올라갈 지 알 수 없음.
13. 트럼프 입장에서는 장기국채금리가 발작하고 있는 환경에서 마지막 카드를 꺼내든 것임.
14. 이 결과로 9월 금리인하 확률은 80% 까지 상승함.
15. 머리말에서 섹터 로테이션을 돌고 있다고 이야기했음.
16. 국채금리가 하락했다는 이야기는 누군가 국채를 샀다는 이야기이고, 같은 맥락에서 금(gold)이 반등했음.
17. 전세계에서 가장 큰 두 시장에 자금이 몰린 것임.
18. 어디론가 돈이 흐르려면, 돈이 있는 곳에서 빠져나가야함.
19. 나스닥 등 위험자산은 버블 고점을 이은 추세선에 맞닿아 있었음.
20. 조심해야 될 때라고 이야기했던게 이것임.
21. 미국의 관세협상이나 기타 정치적인 요인이 매크로 환경에 의해 무시받기 시작하는 시점이 된 것임.
✍️정리
1. 9월 금리인하와 함께 TGA 유동성을 채우기 위한 유동성 흡수가 발생할 것
2. 시중에 풀려있는 유동성이 아직은 여유가 있는 상태. 떄문에 위로 먼저 올라갈지, 바닥에서 쌍바닥을 만들지 알 수 없는 상황
3. 유동성을 흡수하는 곳이 만들어진다면 금, 국채금리 등이고, 비트코인은 어부지리로 금과 커플링 될 가능성이 있음.
4. 유동성이 빠진 곳들은 커머디티 자산들(석탄, 석유, 구리 등)과 위험자산
5. 단기적으로 국채금리가 빠지더라도 달러의 상대적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6. 나스닥 인덱스 기준 18000대, 비트코인 기준 98000대 이하로 떨어져야 20% 하락으로 하락장세 시작이라고 볼 수 있음.
7. 모멘텀이 깨졌지만 강세장 내의 조정이라 볼 수 있음.
8. 단기적으로 조심해야 되는 때인 것은 맞음. 6번에 이야기한 곳에 도달하면 시중에 풀려있는 레버리지들이 대부분 정리가 될 것.
정도라고 볼 수 있겠다.
#국제

2644
6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