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227
10달 전
..
- 오늘 참여한 HangOVER에서는 메인넷 출시 후 진행될 비즈니스 플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들었음 - 이게 나름 신선했는데, K-문화, K-뷰티를 위한 마켓플레이스를 구상하고 있었음 - 피부 시술권 같은 바우처를 발행해서 유저의 실물 거래를 프로토콜에 온보딩할 계획인 것임 - 주요 타겟은 외국인, 특히 여성들로 보였음 - 즉, 단기적인 목표로 소비력이 강한 여성, 특히 외국인들에게 세계적으로 핫한 K-뷰티를 이용해서 오버프로토콜 위에 실물 거래를 유도하겠다는 것임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그리고, 파이어댄서의 1단계에 해당하는 '프랑켄댄서' ...다음 - - 더구나 데이터 레이어를 Short-term, Lon...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최근포스팅
참고로 earthnode는 nft가 필요한데, cardano nft 마켓플레이스에서만 거래되고 있음.
viewCount175
22시간 전
Cardano에서 시작한 @WorldMobileTeam 이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 중에 DAU 1위를 달성함... 심지어 압도적임(Tokenterminal 출처) Worldmobile은 탈중앙화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임. 아프리카 같은 인터넷 인프라가 낙후된 지역에 탈중앙화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임. 재밌는게, 자체 체인인 WMC도 있음... Arbitrum의 Orbit으로 구축되고 Base위의 Layer3임. 이 네트워크에 서비스 관련 데이터의 기록이 이뤄짐. 그러나 이 인프라를 구성하는 여러 노드 (Airnode, Earthnode)의 보상과 스테이킹은 Cardano에서 진행됨... Arbitrum의 Orbit, Opstack 기반의 Base, Cardano까지... Ethereum과 Cardano 생태계에 모두 포함되는 특이한 DePIN 프로젝트임...
viewCount193
23시간 전
'샘 알트만' AI 이후 세계 - 그의 아들은 대학에 갈 것같지 않다고 단언함. - 모든 지식을 즉시 알려주는 AI가 있다면, 중요한 것은 ‘지식의 소유’가 아니라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능력’과 ‘새로운 것을 탐구하려는 동기’임. - 일의 본질은 ‘노동’에서 ‘창의적 방향 제시’로 이동할 것임. AI 덕분에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으면 코딩 없이도 앱을 만들고, 복잡한 분석을 해낼 수 있음. - 그는 돈 대신 ‘전 세계 AI 컴퓨팅 자원의 일부’를 모든 인류에게 지분처럼 나눠주자고 제안함. 예를 들어, 전 세계 80억 인구에게 각각 1조 개의 ‘AI 토큰’을 분배하는 식임. - '언젠가 은퇴해서 농장에 앉아있게 되면, 지금의 이 치열한 경쟁과 긴장감, 드라마를 그리워하게 될 것'이라고함. https://x.com/AIBopyo/status/1951870724408266837
viewCount357
1일 전
- 더구나 데이터 레이어를 Short-term, Long-term 으로 나누어 노드를 경량화시킴. 

- 적은 디스크 사이즈로도 Validator를 운영할 수 있다는 것임 

- 이는 김재윤 대표가 박사시절 썼던 Ethanos 논문을 기반하여 구현된 기술임

- 쉽게 말해서 누구나 Validator로 참여할 수 있는데 참여하는 방법(GUI)이 아주 간단하며, 운영 리소스 부담(Ethanos에 의해)도 적음
도리의 코인메모
- 더구나 데이터 레이어를 Short-term, Long-term 으로 나누어 노드를 경량화시킴. - 적은 디스크 사이즈로도 Validator를 운영할 수 있다는 것임 - 이는 김재윤 대표가 박사시절 썼던 Ethanos 논문을 기반하여 구현된 기술임 - 쉽게 말해서 누구나 Validator로 참여할 수 있는데 참여하는 방법(GUI)이 아주 간단하며, 운영 리소스 부담(Ethanos에 의해)도 적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