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18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펌프닷펀 설립자 LIBRA 사태 역겹지만 밈코인 수요는 계속될 것]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 설립자인 알론(alon)이 자신의 X를 통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홍보한 밈코인 LIBRA 관련 사건은 역겹지만, 무허가 토큰 발행 수요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LIBRA 프로젝트 내부자들은 많은 이용자, 생태계, 심지어는 국가까지 희생시키면서 상당한 개인적 이득을 가져갔다. 당사자들이 마땅한 처벌을 받길 바란다. 이번 사건 피해로 많은 사람들이 밈코인의 종말을 보고 싶어하지만, 관련 수요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밈코인은 과거 ICO, NFT, 디파이 열풍과 함께 했다. 이런 과정에서 각 플랫폼들은 이용자 수요를 만족하면서도 보호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안전하고 윤리적인 토큰 발행 방법을 교육한다거나 이용자 친화적이고 보호에 집중하는 플랫폼이 형성돼야 한다. 각 플랫폼들은 의심스러운 트랜잭션이 있는 토큰 노출은 줄이고, 합리적인 수준의 슬리피지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번스타인 BTC 강세 계속될 듯...대형 금융기관 채택 영향]
디크립트에 따르면 미국 월스트리트 소재 리서치 및 브로커리지 업체 번스타인이 보고서를 발표, 대형 금융 기관의 채택에 힘입어 BTC 강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은행, 기관 투자자, 기업 등의 채택이 이어지면서 BTC가 금의 아성에 도전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블랙록 BTC 현물 ETF(IBIT)를 매입한 아부다비 국부펀드는 BTC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헤지펀드 시타델, 모건 스탠리 등 주요 기관도 BTC ETF를 매수했다고 설명했다.
[주피터 설립자 메테오라 공동 설립자 벤 사임 결정]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주피터(JUP)와 메테오라(Meteora)의 공동 설립자 meow가 X를 통해 메테오라의 공동 설립자 벤(Ben Chow)이 최근 사태와 관련 사임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그는 (최근 밈코인 사태와 관련) 주피터와 메테오라의 어떤 직원도 내부자 거래나 부정행위를 저지르지 않았다고 확신하며, 벤도 비슷하게 진술했다. 메테오라는 주피터와는 별개로 운영되기도 했다. 하지만 벤의 최근 행동은 부적절한 부분이 있었다. 나는 개인적으로도 JUP를 계속 보유하고 있고, 정기적으로 밈코인을 트레이딩하지도 않았다. 마케팅 관련 제안도 있었지만 항상 거절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많은 교훈을 얻었으며, 주피터의 발전과 업계 확장성 등을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상금융위원장 업비트 제재심 조속히 결론내겠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고객 확인 의무를 위반한 가상자산거래소 업계 1위 업비트에 대한 제재 결론을 곧 내리겠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지난해 8월 말부터 업비트가 제출한 사업자면허 갱신 신고 신청과 관련해 현장검사를 한 결과, 고객확인제도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 의무 불이행 의심 사례를 수십만건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증권감독청, 암호화폐 업체 직원 역량 평가 가이드라인 제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유럽증권감독청(ESMA)이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 직원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초안을 제출했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유럽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MiCA)를 준수하며, 암호화폐 서비스 업체 직원들에게 암호화폐, 블록체인, 관련 리스크, 세금 제도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 ESMA는 4월 22일(현지시간)까지 피드백을 수렴한 뒤 오는 3분기에 최종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해시키글로벌, BNB 현물 상장...거래 수수료 면제]
해시키그룹 산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글로벌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2월 18일 17시 BNB/USDT 현물 거래페어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해시키글로벌은 BNB 현물 상장을 기념해 신규 사용자 대상 입금 및 거래 캠페인을 진행한다. 0.01 BNB 이상 입금하거나 50 USDT 이상 BNB를 거래한 신규 사용자에게는 총 10,000 HSK 규모의 상금풀에서 보상이 배분된다. 또 현재 해시키글로벌은 일부 거래 페어에 수수료 면제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며, BNB 현물 거래 역시 거래 수수료가 면제된다.
[유엔개발계획 암호화폐 실생활 적용 방법 모색해야]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유엔개발계획(UNDP)의 아시아태평양 국장 칸니 위그나라자(Kanni Wignaraja)가 블로그를 통해 암호화폐,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 스테이블코인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시총)이 지난해 12월 기준 3조90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처럼 막대한 규모의 자본 풀을 감안할 때, 교육, 의료, 기술 개발 등에 이를 사용할 수 있다면 인류의 삶이 더 편리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분석 BTC, $9.1만~10.9만 박스권 횡보 지속...곧 변동성 확대 전망]
코인데스크 수석 애널리스트 제임스 반 스트라튼(James Van Straten)이 최근 비트코인 변동성이 눈에 띄게 축소됐다. 일반적으로 좁은 구간에서 긴 횡보를 거친 BTC는 추후 변동성이 폭발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글래스노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주간 BTC 실현 변동성 지표는 수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1개월 옵션 내재변동성(IV) 역시 수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아울러 BTC의 횡보세를 측정해주는 불안정 지수는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그만큼 BTC가 좁은 범위에서 긴 횡보세를 거치고 있다는 의미다. 곧 BTC는 이 횡보세에서 벗어날 것이며, 그 방향이 하락으로 갈지, 상승으로 갈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하이퍼리퀴드, 메인넷에 하이퍼EVM 출시]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하이퍼리퀴드(HYPE)가 공식 텔레그램을 통해 하이퍼EVM(HyperEVM)을 메인넷에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HYPE 현물의 하이퍼EVM 체인이 지원되며, HYPE는 하이퍼EVM의 가스 토큰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이퍼리퀴드는 ERC-20 토큰 표준 이체는 향후 업그레이드에서 활성화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 SEC 집행국장 SEC, 곧 리플과 소송 중단할 듯]
유투데이에 따르면 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인터넷 집행국장 존 리드 스타크(John Reed Stark)가 자신의 X를 통해 SEC가 곧 리플과 소송을 중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SEC는 리플을 포함해 모든 암호화폐 관련 소송을 마무리 지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출범한 미국의 암호화폐 태스크포스(TF)가 이 같은 소송 해결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부연했다.
[분석 BTC, 반감기 사이클 상승 여력 남았다]
온체인 애널리스트 oinonen_t가 크립토퀀트 기고문을 통해 비트코인은 기술적 조정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반감기 상승 사이클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이어 2020년 반감기 당시 BTC는 686% 상승했지만, 2024년 4월 최근 반감기 이후 상승폭은 63%에 불과하다. 멱법칙 모델과 수익률 감소를 고려하면 앞으로 63%의 상승 여력은 남았다.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BTC 매수는 기관 투자자 수요를 반영하며, 가격 움직임 선행 지표 역할을 한다. 이들은 최근까지 BTC를 지속 매수해왔다.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 등의 거시적 사건은 BTC를 포함한 위험 자산의 가격을 크게 상승시킬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해시키글로벌, BTT 상장]
해시키그룹 산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키글로벌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2월 18일 16시 비트토렌트(BTT)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해시키글로벌은 BTT 상장을 기념, BTT 거래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2월 19일 17시부터 2월 26일 17시 사이 해시키글로벌 신규 사용자 중 BTT 거래를 완료한 사용자에게 1인 당 5 USDT를 지급한다. 선착순 지급이며, 총 20,000 USDT가 지급된다. 아울러 해당 기간 BTT 누적 거래량 상위 100명의 사용자에게는 500 USDT가 지급된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