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저와 유동성 모두 메인넷에 그대로 존속시킬 수 있으며, 기본적인 transfer를 포함한 모든 트랜잭션에 대한 $ETH 수수료 부과도 줄여 덤핑도 어느정도 막을 수 있음.
- 또한, 요즘 Layer2들의 화제인 상호운용성 이슈도 이 구조에선 해결됨. 개별 네트워크가 아니기 때문임.
물론, 기술적으로 깊이 고려하진 않음...ㅎㅎ 그냥 해본생각임.
- 현재 이더리움 Layer2도 finality가 이더리움 메인넷의 state와 증명이 기록되어야 결정되기 때문에, 이 새로운 Layer2의 방식의 finality도 동일하게 적용됨.
- 이런 구조라면, 현재 이더리움 L2가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현해서 발생하는 유저와 유동성의 파편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 이 아이디어에서의 Layer2는 오프체인에서 처리하여 바로 메인넷에 기록하기 때문에 개별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임.
- 또한, 메인넷에서 모든 액션이 처리되어 유저들은 wallet의 네트워크를 변경할 필요도 없음.
- Layer2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실상 Dapp에 붙는 하나의 모듈이라고 봐도 됨.
- Dapp에서 발생하는 유저들의 트랜잭션을 오프체인에서 빠르게 처리해주는 모듈로 동작하는 것임.
- 그래서 Dapp별로 TPS 최적화가 가능할 것임.
- AMM 기반 DEX로 예를 들면, 유동성 풀마다 이 모듈을 구성해서 거래의 빠른 처리를 도울 수 있음.
- 결국, 현재 Layer2가 독립적으로 구축되어서 발생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