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4233
6달 전
..
'해킹 피해' 위믹스 "시장 영향 우려로 공지 지연…은폐 아냐" 연합뉴스 기사 원문  "침투 방법이 특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부르게 공지하게 되면 추가 공격에 노출될 수 있어 즉각적인 공지를 하지 않았다"며 "탈취 자산이 대부분 매도돼 시장 영향은 이미 발생했고, 추가 위험이 없다고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즉각 이를 알릴 경우 시장에 패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공시 관련 결정은 제가 했고, 잘못됐다면 제가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 Comment 전부다 생각하고 고의로 지연 공시했단거라... 납득 가능한 이유가 아닌듯
Naver
'해킹 피해' 위믹스 "시장 영향 우려로 공지 지연…은폐 아냐"
김석환 위믹스 재단 대표, 간담회서 거듭 사과…"위기대응 프로토콜 재점검" 해킹으로 90억원대 가상화폐 탈취 피해를 본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자회사 위믹스 재단이 공지가 늦었다는 지적에 "해킹을 은폐하려는 생각이나 시
BChoSN/14623/5964019960235800416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크립토퀀트, 비트코인 약세장 초입 진입 가능성…최...다음 - 위믹스 브릿지 해킹, ‘왜’는 빠지고 ‘복구’만 남았다...
BChoSN/1713420685720790954
변창호 코인사관학교
@BChoSN
채팅방 @engzip
최근포스팅
지난 디파이 서머 때 살아남은 알파 예시로 AAVE를 들 수 있는데 여전히 Aave는 TVL 탑 먹고 잘 나가지만 가치가 우상향하진 못함 (많이 올랐네 할 수 있겠지만 비트 이더 오른걸 감안해서) 비슷한 사례로 Lido, Curve, Uni, Cake이런 프로젝트도 시장의 지배자가 되었지만 홀더들은 존버해봤자 돈은 못 범 (그놈의 거버넌스 거버넌스...) 그래서 '이번 사이클에도 그럴까?' 생각해봤는데 이전 사이클의 토큰은 장식품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로 수수료 분배에 인색했었고 투자해서 망한 경험이 있는 투자자들은 퇴학당하거나 항체가 생겨 적당한 감언이설로는 꼬셔지지가 않았는데 ENA/USDe 구조나 HYPE는 살아남기만 해도 적극적인 수익 분배로 상생을 추구한단게 차이점 같음 (ENA는 아직 제대로 분배는 안되지만 곧 한다고하니...) 이 프로젝트들의 취약점은 이 전략을 누군가 쉽게 배낄 수 있다는 거고 기술력보다는 점유율이 중요한 구조라는 것 트럼프의 USD1 이나 바이낸스 ASTER 같은 별종들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얘네들이 점유율 싸움 거는거라고 봄 대기업(?)의 자본력으로 기존 시장 1위를 뺏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카카오 택시, 카카오뱅크 등 카카오 이름달고 시장 교란종들이 나온 것 처럼) 업비트, 빗썸 경쟁에 이용자 수혜를 보는 것 처럼 이런 지각 변동이 일어나는 경우엔 우리가 먹을 것들이 더 많아진다는 거임 "알파 하나 사면 끝" 이라는 생각보단 앞으로 무한리필 되는 알파 호소인들이 있을텐데 얘네들을 연금삼아 계속 먹을 수 있을 거라 봄
viewCount589
2시간 전
WLFI 로열티 시스템을 보다가 여러 생각이 드는데 다들 알다시피 "스테이블, Perp" 딱 두개의 키워드로 코인판이 굴러가는 중 이 트렌드는 ENA와 HYPE가 만든 트렌드라 생각함 WLFI도 높은 시총을 확보했으니 그걸 담보로 세일즈를 하는데 선택한게 USD1 선물거래고 강렬한 데뷔를 한 Aster도 그렇고 곧 출시할 Falcon도 트렌드 벤치마킹을 철저히 하는 느낌임 TGE 때 강력한 인상을 남기지 못하면 알파는 아니라고 거르면 됨 트렌드가 지나가면 알파만 살고 나머지는 도태될거라 생각하는데 그렇다고 염세주의적 성격으로 불구경만 하다간 벼락거지 꼴 되는거임 (반쯤 내 얘기임) 경험상 트렌드가 끝날 때까지 편승해서 즐기는게 제일 좋은 것 같음 특히나 요즘 스테이블 플레잉하거나 수수료 녹이는 방식이 시드를 다 털어가거나 하진 않는 방식이라 좀 더 용감하게 해볼만한듯 이전 디파이서머 때는 곡괭이로 야수들만 크게 벌고 뒤지고 하는 시장이었는데 이 정도면 안전모, 안전바가 마련이 된 상황이라 생각함
viewCount630
2시간 전
Buidlpad에 예치된 USDf를 3000불로 나누면 대략 7600명이 예치를 했다는 건데... 내일 마감전까지 더 늘어나는 것을 감안하면 예치하고 부스팅 받는 사람 1만명 가까이되고 부스팅 안받는 사람까지 2만명이나 몰릴각임
viewCount898
3시간 전
위믹스 브릿지 해킹, ‘왜’는 빠지고 ‘복구’만 남았다[엠블록레터]

매일경제 기사 원문
변창호 코인사관학교
위믹스 브릿지 해킹, ‘왜’는 빠지고 ‘복구’만 남았다[엠블록레터] 매일경제 기사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