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3
6달 전
3월 26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외신 팔콘엑스, 고위급 임원 최소 10명 이탈] 코인데스크가 사안에 정통한 두 소식통을 인용 암호화폐 프라임 브로커리지 업체 팔콘엑스(FalconX)에서 고위급 임원들의 이탈이 계속되고 있다. 최소 10명의 고위급 임원이 최근 팔콘엑스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최근 사직한 임원 중에는 유럽 지사장, 최고준법감시책임자, 총괄 법률 고문, 크레딧 총괄 등이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된 코인데스크의 질의에 팔콘엑스 측은 지난해 임직원 수가 약 두 배로 늘었고, 팔콘엑스의 팀 규모는 계속 성장하고 있다. 특정 인사 문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타이거리서치 서구권 코인 거래소 아시아 공략 가속화] 아시아 웹3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사 타이거리서치가 최근 로빈후드와 코인베이스의 아시아 진출, 성장하는 시장으로 몰리는 거래소 보고서를 통해 로빈후드와 코인베이스 같은 서양권 거래소들이 아시아 시장 확장에 나섰다. 이들은 아시아에서도 규제 친화적인 거점을 활용하고 현지화 전략을 펼치며 아시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핵VC, 커뮤니티 중심 투자 플랫폼 출범] 6억 달러 규모 암호화폐 펀드 운용사 핵VC(Hack VC)가 커뮤니티 중심 투자 플랫폼 에코(Echo) 그룹을 출범한다고 X를 통해 발표했다. 핵VC는 암호화폐는 본질적으로 커뮤니티 중심이다. 가장 성공적인 네트워크는 커뮤니티가 소유하고, 통제하며,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고 믿는다. 에코 그룹은 스팸 방지를 위해 비공개로 운영될 예정이지만, 참여 신청이 자유롭다. 또, 최소 1년 간 성과 수수료는 없으며, 참가 프로젝트들의 커뮤니티 자금 조달을 장려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100~1만 BTC 보유 고래 주소 증가세] 100~1만 BTC를 보유한 고래 주소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플랫폼 샌티멘트는 BTC가 약 2주 전 77,500 달러까지 하락하며 저점을 형성한 이후로 100~1만 BTC를 보유한 고래 주소가 16,600개에서 17,889개로 증가했다. 고래들의 매집이 재개되면서 시장이 다시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중이라고 X를 통해 밝혔다.   [아하토큰, 답변자 응원박스 기능 통해 유틸리티 강화] Q&A 커뮤니티 아하(AHT)가 답변자 응원박스 기능을 도입, 아하토큰의 유틸리티를 강화했다고 공식 채널을 통해 밝혔다. 해당 기능은 질문자가 유익한 답변을 제공한 사용자에게 아하토큰으로 직접 보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전문가의 지식 공유에 대한 보상을 활성화하고, 아하토큰의 실제 사용처를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비트겟 BGB, 생태계 확장 가속화...신규 서비스·글로벌 진출 본격화] 비트겟이 플랫폼 토큰 BGB 생태계를 확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트겟은 최근 런치엑스, 얼리헌터 등 신규 서비스를 통해 BGB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영국, 베트남에서 서비스를 시작했고 엘살바도르, 불가리아에서 라이선스를 확보한 상태다. 비트겟 월렛도 최근 100만달러 규모 BGB 온체인 스테이킹 풀을 출시, 연 5% 고정 수익률을 제공했다고 전했다.   [BTC 현물 ETF 393억원 순유입...8거래일 연속] 트레이더T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에 2683만 달러(393억원)가 순유입됐다. 8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IBIT에만 4202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반면 비트와이즈 BITB에서 1006만달러가 순유출됐다.   [분석 “BTC, 4월 중순까지 강한 랠리 어렵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호주 암호화폐 거래소 스위프트엑스 수석 애널리스트 파브 훈달(Pav Hundal)은 “올해 1분기 말까지 비트코인이 강한 상승 랠리를 펼칠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계획이 더 구체화될 4월 중순까지 암호화폐 시장은 조용한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다만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들은 글로벌 경제가 여전히 건전한 상태임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크로미아, 미미르 업그레이드 메인넷 적용 완료] 레이어1 블록체인 플랫폼 크로미아(CHR)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미미르 메인넷 업그레이드(Mimir Upgrade) 적용을 완료했다고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주요 업그레이드 내용은 벡터 데이터베이스 확장이다. 업그레이드 이후 크로미아는 벡터 데이터의 네이티브 온체인 스토리지를 제공하며, 이는 AI 애플리케이션 지원에 핵심적 역할을 할 전망이다. 또 크로미아는 AI 추론 확장 프로그램의 첫 번째 버전 코드를 테스트넷에 공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델리티, 스테이블코인 출시 계획] 글로벌 자산운용사 피델리티가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파이낸셜타임즈(FT)가 보도했다. 매체는 소식통을 인용 피델리티의 계획은 미국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첫 규제 체계를 준비 중인 가운데 추진되고 있다. 자사 디지털 자산 부문을 통해 해당 토큰을 관리할 예정이다. 해당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현금처럼 작동하도록 설계됐으며, 현재 테스트 고도화 단계에 진입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유엑스링크, 4/1 생태계 에어드롭 시즌3 스냅샷 진행] 웹3 소셜 플랫폼 유엑스링크(UXLINK)가 공식 X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4월 1일 08시 59분 생태계 에어드롭 시즌3 스냅샷을 진행한다고 공지했다. 이번 에어드롭 토큰에는 SLOV, SONIC, DUCK, MOZ, DYOR, XOXO, N3, OBT, PINGO, KIP 등 10종이 포함된다. 에어드롭 지급은 4월 5일 8시 59분 이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에어드롭 자격은 유엑스링크 클럽 카드를 보유한 한국 및 일본 사용자다. 이와 관련 유엑스링크 관계자는 이번 에어드롭 토큰은 생태계 파트너 및 UFLY랩스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프로젝트로 구성됐다. 앞으로도 커뮤니티와 보유자들을 위한 가치 창출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분석 ETH, 4월 이후 급등 가능성] 이더리움(ETH)이 단기적으로 약세 신호를 보이고 있지만, 4월 이후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세틱스 생태계 옵션 거래 프로토콜 디라이브(Derive·구 라이라) 창립자 닉 포스터(Nick Forster)는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 옵션 내재 변동성(IV)이 현재 월간 최저 수준에 근접해 있다. 역사적으로 내재 변동성이 이처럼 낮은 수준을 나타낸 경우가 드물었다. 4월은 이더리움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는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더리움의 선도 금리(Forward Rate·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적용될 예상 이자율)는 현재 미국 국채 수익률(5%)보다 낮다.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조건에서 가격이 급등했다. 선도 금리가 낮을수록 레버리지 포지션을 매력적으로 만들어 수요가 빠르게 유입되면서 가격이 치솟는 경향이 있다고 부연했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밈코들 상승 지려다음 -
샴푸의코인드림팀(뉴스&정보창고)
@shampoo1004
#코인정보#뉴스#비트코인#이더리움#코인뉴스#리플
최근포스팅
동영상
viewCount3
1시간 전
[구글 "북한 연계 해커, '이더하이딩'으로 암호자산 탈취 포착"]  구글위협정보그룹(GTIG)은 17일 북한과 연계된 해커그룹 UNC5324가 이더하이딩으로 불리는 신규 기법을 활용해 암호화폐 탈취 및 민감정보 수집을 수행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이번 조사는 퍼블릭·탈중앙화 블록체인을 활용해 악성코드를 은폐하는 이더하이딩 기법이 국가 지원 위협 행위자에 의해 악용된 정황을 최초로 관찰한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그룹측은 강조했다. 이번 공격은 다단계 악성코드 감염 절차를 통해 윈도우, 맥OS,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체계에 영향을 미쳐 피해자의 시스템을 침해했으며, 공격자는 사용한 악성코드를 변경 불가한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이를 '읽기 전용'으로 불러와 익명으로 명령을 지속 제어한 것으로 확인됐다.
viewCount4
2시간 전
10월 17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테더, 유벤투스 이사 후보 2명 추천] 이탈리아 세리에A 축구 구단 유벤투스(JUV)의 2대 주주로 올라선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USDT)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유벤투스 이사회에 합류할 2 명의 후보자를 지명했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첫 번째 후보는 이탈리아 의학계 인사 프란체스코 가리노 박사, 두 번째 후보는 테더사의 VP 재커리 라이온스(Zachary Lyons)다. 이와 관련 테더는 두 후보는 클럽의 재정 및 전략적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며 유벤투스가 다시 세계 축구계의 정상에 설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KPMG 스테이블코인, 국가 간 결제 비용 99% 절감 가능] 글로벌 4대 회계법인인 KPMG이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국가 간 결제 비용을 최대 99%까지 낮출 수 있다고 진단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보고서는 글로벌 은행들은 연간 약 150조 달러를 이동하는 은행간 메시징 네트워크 스위프트(SWIFT)에 의존해 국가 간 결제를 처리 중이다. 하지만 이는 결제에 2~5일이 걸리고, 여러 중개자들이 개입하며, 거래당 평균 비용도 25~35 달러가 든다. 스테이블코인은 국가 간 결제 시간을 몇 분 혹은 몇 초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비용 또한 최대 99% 절감할 수 있다. 일부 주요 금융기관들은 이미 블록체인을 통한 가치 이전을 시도하고 있으며, JP모건이 좋은 예라고 부연했다. [외신 BTC 단기 하락, 시장 내 유동성 부족 탓] 비트코인의 단기 약세는 위험자산 시장 내 유동성 위축이 주요 원인이라고 코인데스크가 분석했다. 코인데스크는 금과 은 등 안전자산 가격은 연일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비트코인은 10.9만 달러선을 내주며 연일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주 폭락은 시장 내 과도한 레버리지가 해소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지속적인 하방압력은 금융 시스템의 유동성이 위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선호도를 약화시킨다. 실제로 미국 담보부 단기 금리(SOFR)와 실효 연방기금금리(EFFR) 간의 괴리는 일주일 만에 0.02에서 0.19로 상승했다. 이는 뚜렷한 유동성 위축 신호라고 설명했다. [미 SEC 위원 실물자산 토큰화, 현시점 SEC 최대 관심사]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 위원 헤스터 피어스가 실물자산 토큰화는 현재 SEC의 최대 관심사라고 16일 워싱턴 D.C. 에서 개최된 DC 프라이버시 서밋 패널 토론에서 말했다. 이어 그는 SEC는 최근 토큰 발행 규칙, 거래 구성에 대한 지침, 암호화폐 커스터디 관련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또 디지털 자산 산업 전반을 규제하는 법안 초안을 마련하기 위해 의회와도 협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푸틴과의 통화 생산적...헝가리서 푸틴 만나 전쟁 종식 논의할 것] 월터블룸버그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를 마친 후 매우 생산적인 통화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날 통화에서 푸틴 대통령과 러-우 전쟁이 끝난 후 러시아와 미국 간 무역에 대해 많은 시간을 할애해 논의했다. 푸틴 대통령과 합의된 장소인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만나게 될 것이며, 러-우 전쟁 종식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3자 회담도 여전히 가능하다고 판단 중] 월터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통화 종료 후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3자 회담이 여전히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오창펑 “피터 시프 BTC 전망, 16년 중 단 1%만 적중”] 바이낸스 창업자 자오창펑(CZ)이 금 투자 옹호론자 피터 시프의 비트코인 비판에 반격했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공동 설립자는 X를 통해 “비트코인의 16년 역사 중 단 1%(두 달)의 시간만 그의 말이 맞았다. 해당 기간동안 비트코인은 0.004 달러 에서 11만 달러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앞서 피터 시프는 “최근 현물 금 급등은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비트코인은 언제든지 바닥을 칠 수 있다. 이번 비트코인 약세장은 잔혹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美 부동산 투자사 카돈 캐피털 200 BTC 추매] 미국 부동산 투자사 카돈 캐피털(Cardone Capital)이 200 BTC(2억 1600만 달러)를 추가 매수했다고 크립토브리핑이 전했다. 카돈 캐피털은 지난 4월 BTC 매입을 위해 10개 부동산으로 구성된 신규 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플로리다주, 공공기금 비트코인 투자 허용 법안 발의] 플로리다주가 공공기금의 일부를 비트코인과 디지털 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고 크립토브리핑이 보도했다. 하원의원 웹스터 바나비(Webster Barnaby)가 발의한 ‘하우스빌 183(HB183)’은 주 재무책임자(CFO)와 주행정위원회가 비트코인 및 디지털 자산 상장지수상품(ETP)에 투자, 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코인베이스 CEO “10년 내 암호화폐, 일상에 완전히 녹아들 것”]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X를 통해 “향후 10년 안에 암호화폐가 일상 속에 완전히 녹아들 것이며 사용자는 그 존재를 느끼지 못한 채 편리함만 누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중요한 것은 기술의 작동 원리를 아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한 혜택을 경험하는 것이다. 진정한 혁신 기술은 눈에 보이지 않게 작동한다”고 덧붙였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viewCount4
2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