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157
17시간 전
..
- 암튼… 결제 솔루션에 한정해서 생각했지만, 생각해보면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좋은 점들이 많음. - Custom Gas token이 아비트럼 생태계에서 임시적인 패치를 넘어 표준 기능으로 자리잡은 핵심은 ‘다계층 회계 엔진’, ‘가스 단위 어댑터’에 있음. - 회계 엔진은 체인별 가스토큰을 L1 settlement layer의 비용에 맞춰서 자동 환산함. 만약 $USDC 를 가스비로 선택했다면 L1에 데이터를 올릴때 발생하는 $ETH 수수료를 실시간 환율을 기준으로 $USDC 로 변환하여 시퀀서가 부담함. - 이렇게 레이어별로 비용을 자동 정산하기 때문에 L1에서는 언제나 $ETH 로 정산되는 구조가 유지될 수 있음. - 또한 Config 파일에서 gasTokenAddress값만 수정하면, Nitro 시퀀서와 노드, RPC 엔드포인트, 브릿지 컨트랙트가 업데이트되어 배포됨. - 과거엔 Custom Gas token을 wallet에서 새로 추가해야했지만, Metamask같은 표준월렛에서 chain ID와 token 주소를 같이 읽어서 자동 등록됨. - 실제 Ethena의 USDe, USDtb가 가스 토큰으로 사용되는 RWA에 특화된 converge 프로젝트도 Orbit으로 구축되어 진행되고 있음. - 다들 동의하겠지만 mass adoption은 유저들이 이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건지, wallet인지, 코인으로 거래되는 것인지 인식할 필요없이, seamless하게 사용하게 되는 UX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 그런 점에서 이런 Custom gas token은 기본적으로 제공해야할 기능 중 하나이며, 빌더 입장에서도 솔루션을 구현하는데 있어 난이도와 편리함에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함…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곰지네 CVD 봇 알리미 (BTC) 🔥 ✅ C...다음 - - 그러나 이번 릴리즈로 인해서 아비트럼 One 뿐 만...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최근포스팅
앞으로 다크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음. 머지않아 한 국가에서 발행하는 모든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은행과 마찬가지로 엄격한 정부 규제를 받게 될 것임.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으로 세금이 징수될 수 있으며, 정부 규정에 따라 지갑이 동결되거나 서류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국제 송금에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했던 사람들은 검열이 불가능한 다크 스테이블코인을 찾기 시작할 수도 있음. 다크 스테이블코인을 생성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음. 1.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2. 금융거래를 검열하지 않는 국가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T 자체는 검열에 강한 스테이블코인으로 여겨졌습니다. 만약 테더가 미래의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 정부 규제를 준수하지 않는다면, 점점 더 검열이 심해지는 인터넷 경제에서 다크 스테이블코인이 될 수 있음. 아직 장기 암호화폐 투자자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다크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산은 인터넷 자본 시장에서 투자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함. DYOR. https://x.com/ki_young_ju/status/1921521574450213293
viewCount187
10시간 전
9. 여기서부터 뇌피셜인데, 아무리 생각해도 작년말 뜬금없는 Rebased 발표와 말도 안되게 빠른 업그레이드 완료 시기는 TWIN Foundation에 참여한 WEF 및 TBI에서 IOTA 재단에 급하게 뭔가를 요청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아닌가 생각되고, 10. 이는 아무래도 작년에 대다수 국가들이 일제히 발표한 글로벌 무역의 디지털화와 관련된 것이 아닌가? 그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IOTA는 이전 버전에 비해 훨씬 높은 퍼포먼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그것을 갖추기 위해 이렇게 빨리 Rebased 업그레이드를 완성한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듦. 11. 그런 의미에서 앞으로 IOTA의 미래를 예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TWIN Foundation의 행보를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고 생각함. https://x.com/zandy_kr/status/1920859513613414498
viewCount229
17시간 전
아무리 생각해도 이번 #IOTA 의 Rebased 런칭 계기가 수상함. 1. IOTA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EVM을 도입한 것에 그치지 않고, 작년말에 갑자기 MoveVM까지 도입하기 위한 Rebased 런칭 발표 2. 그런데 처음부터 MoveVM을 다 만드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것으로 예상되어 수이 기술을 기반으로 일부 변형함으로써 빠른 Rebased 런칭을 추진 3. Rebased 업그레이드에 대한 거버넌스 투표는 작년 12월초 였는데, 대략 6개월만에 완성하여 5월5월에 런칭 4. Rebased를 런칭하자마자 3일 뒤인 5월8일에 TWIN Foundation 출범 5. TWIN Foundation에는 World Economic Forum(WEF) 뿐만 아니라 토니 블레어 연구소(TBI)도 참여 6. 영국의 전 총리(1997~2007) 토니 블레어가 이끄는 TBI는 정부, 기업, 국제기구에 자문을 제공하는 싱크탱크로임. 7. 작년부터 국제적으로 수많은 국가들이 글로벌 무역의 디지털화를 추진한다고 발표, 이번에 런칭한 TWIN Foundation은 IOTA의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무역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효율성, 투명성, 포용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기관임. 8. 갑자기 Rebased 발표 -> 6개월만에 업그레이드 완료 -> 3일 뒤 바로 TWIN Foundation 출범...?
viewCount193
17시간 전
- 그러나 이번 릴리즈로 인해서 아비트럼 One 뿐 만 아니라, Celestia, EigenDA 등의 DA layer까지도 Custom Gas token을 적용할 수 있게됨.

- 그래서 Orbit 기반 결제 솔루션을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음.

- 먼저 $USDC 같은 스테이블 코인을 가스비로 설정하면, 유저는 어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지 인식할 필요없이 심리스한 UX를 경험할 수 있음. $USDC 만 있다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함.

- 더구나 빌더 입장에선 비용이 중요한데, Celestia 같은 DA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다면 인프라 비용을 최적화시킬 수 있음.

- 수익 구조면에서도 솔루션을 별도로 판매하지 않아도 될 듯… 유저가 지불한 $USDC 가스비가 시퀀서 수익이 되기 때문에 유저의 거래가 많을수록 빌더의 수익이 늘어날 수 있음. 그저 많은 가맹점과 유저를 온보딩하기만 하면 매출이 늘어나는 것임...

- Arbitrum Orbit은 블록타임을 0.1초까지 줄일 수 있음. 현재 Arbitrum One의 블록타임은 0.25초임. 웬만한 Layer1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음. (비슷한 프레임워크인 Optimism의 Opstack은 기본 2초,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최소 1초 정도로 알려져있음)

- 또한, 다른 L2, L3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AA + Paymaster를 이용해서 Custom Gas token을 지원할 수 있으나, 이것은 Contract 레벨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도리의 코인메모
- 그러나 이번 릴리즈로 인해서 아비트럼 One 뿐 만 아니라, Celestia, EigenDA 등의 DA layer까지도 Custom Gas token을 적용할 수 있게됨. - 그래서 Orbit 기반 결제 솔루션을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음. - 먼저 $USDC 같은 스테이블 코인을 가스비로 설정하면, 유저는 어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지 인식할 필요없이 심리스한 UX를 경험할 수 있음. $USDC 만 있다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함. - 더구나 빌더 입장에선 비용이 중요한데, Celestia 같은 DA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다면 인프라 비용을 최적화시킬 수 있음. - 수익 구조면에서도 솔루션을 별도로 판매하지 않아도 될 듯… 유저가 지불한 $USDC 가스비가 시퀀서 수익이 되기 때문에 유저의 거래가 많을수록 빌더의 수익이 늘어날 수 있음. 그저 많은 가맹점과 유저를 온보딩하기만 하면 매출이 늘어나는 것임... - Arbitrum Orbit은 블록타임을 0.1초까지 줄일 수 있음. 현재 Arbitrum One의 블록타임은 0.25초임. 웬만한 Layer1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음. (비슷한 프레임워크인 Optimism의 Opstack은 기본 2초,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최소 1초 정도로 알려져있음) - 또한, 다른 L2, L3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AA + Paymaster를 이용해서 Custom Gas token을 지원할 수 있으나, 이것은 Contract 레벨에서 구현되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