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Count142
2일 전
..
- 그러나 이번 릴리즈로 인해서 아비트럼 One 뿐 만 아니라, Celestia, EigenDA 등의 DA layer까지도 Custom Gas token을 적용할 수 있게됨. - 그래서 Orbit 기반 결제 솔루션을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음. - 먼저 $USDC$USDC 같은 스테이블 코인을 가스비로 설정하면, 유저는 어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지 인식할 필요없이 심리스한 UX를 경험할 수 있음. $USDC$USDC 만 있다면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함. - 더구나 빌더 입장에선 비용이 중요한데, Celestia 같은 DA 레이어를 선택할 수 있다면 인프라 비용을 최적화시킬 수 있음. - 수익 구조면에서도 솔루션을 별도로 판매하지 않아도 될 듯… 유저가 지불한 $USDC 가스비가 시퀀서 수익이 되기 때문에 유저의 거래가 많을수록 빌더의 수익이 늘어날 수 있음. 그저 많은 가맹점과 유저를 온보딩하기만 하면 매출이 늘어나는 것임... - Arbitrum Orbit은 블록타임을 0.1초까지 줄일 수 있음. 현재 Arbitrum One의 블록타임은 0.25초임. 웬만한 Layer1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음. (비슷한 프레임워크인 Optimism의 Opstack은 기본 2초,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최소 1초 정도로 알려져있음) - 또한, 다른 L2, L3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AA + Paymaster를 이용해서 Custom Gas token을 지원할 수 있으나, 이것은 Contract 레벨에서 구현되기 때문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특정 wallet이나 application에서만 사용가능하며 추가적인 인프라가 요구됨. - 빌더 입장에서 체인 전체에 일관되게 적용되는 Custom Gas Token 기능이 훨씬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는 것임. - 그리고… Arbitrum의 Tandem에 지원하면 투자부터, 전략 수립과 연구까지 지원해주는 파트너쉽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음. (대표적으로 Espresso, Xai 체인 등이 있음)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