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351
2달 전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우연히 찾은 영상 AI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다만 조금 새로운 관점에서 이야기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KIb1Yg3zr34&list=LL&index=8&t=1021s 해외에서도 보면 AI 종사자들이 앞으로 5~10년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근데 요 영상이 재미있는 이유는 "오버턴 윈도우"라고하는 "어떤 시점에서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생각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하는 부분 입니다. 즉 사회에서 "교육은 이래야 해" "도덕은 이래야 해" 라는 것들이 AI를 통해 얼마나 앞으로 변화할 것인가에 관한 관점 입니다. 예를 들면 Cluely라고 하는 치팅 툴도 "예전엥는 치팅이었던 것"이 AI시대에는 "아니게 될 수 있는 것" 처럼요. 결국은 오번턴 윈도우는 변할 것이고 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어떤 기회가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보면서 사는게 중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첨부되어 있는 노션 페이지도 있는데 함께 공유드립니다. https://erucipe.notion.site/10-219d5c9e7e5980318a36e9d0a7af43fb
YouTube
EP 57. 소년이여 [ ]가 되어라: AI 명사들이 이야기하는 앞으로의 10년
AI의 대부 Geoffrey Hinton은 인류 멸종 확률을 10-20%로 보며 경고하고, OpenAI 창립 멤버 Andrej Karpathy는 향후 10년을 '에이전트의 10년'으로 전망합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AI 업계 거장들의 상반된 시각을 통해 우리가 맞이할 미래를 조망합니다. - 🚨 Geoffrey Hinton의 경고: "초지능이 있는 시대에 인간이 무엇이 될지 궁금하다면 닭에게 물어보라" - 💡 Andrej Karpathy의 전망: 소프트웨어 3.0 시대와 Autonomy Slider - 🔄 데모는 가깝고 제품은 멀다: 10년의 간극 - 🧭 Overton Window: AI 담론의 확장과 사회적 통합 "초지능이 2년 안에 온다고 믿는다면 괜찮다.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 Dwarkesh Patel 길을 잃은 시대, 닻을 내리고 나아갈 방향을 함께 모색해봅니다. 00:00:00 인트로: 초지능 시대의 직업 전망 00:00:17 Geoffrey Hinton과 Andrej Karpathy의 대조적 전망 00:01:01 Hinton 교수의 경고: AI로 인한 인류 멸종 위험 00:03:28 자본주의와 국가 경쟁으로 인한 안전 위기 00:05:00 Andrej Karpathy의 Y Combinator 강연 00:06:21 소프트웨어의 진화: 1.0에서 3.0으로 00:09:37 프로그래밍의 새로운 패러다임 00:12:16 LLM은 전기와 같다: 인프라 사업으로서의 AI 00:15:32 LLM의 운영체제적 특성 00:16:57 기술 발전의 역전 현상 00:18:46 LLM Psychology: AI의 심리적 특성 00:21:55 향후 10년의 기회: Partial Autonomy Apps 00:26:45 데모와 프로덕트의 간극 00:29:53 Vibe Coding의 실제와 한계 00:31:46 AI 시대의 문서화: llms.txt 00:35:44 10년 전망의 의미: 비관과 낙관을 넘어서 00:36:24 Overton Window와 AI 담론의 확장 00:39:03 향후 10년의 변화 속도에 대한 전망 00:45:27 중심 잡기: 닻을 내리는 것의 중요성 00:46:28 Geoffrey Hinton의 50년 여정과 직감의 중요성 00:49:32 닻을 내리기 위한 과정 (주관적 방법 아이디어) 00:51:16 AI에게 뼈 맞기 00:51:38 만약 AI가 신약을 발명한다면 널리 쓰일 때까지 얼마나 걸릴까? 00:52:33 초지능 시대의 사회 통합 속도 00:53:53 마무리: 숲과 나무, 그리고 실천 #AI #AGI #GeoffreyHinton #AndrejKarpathy #초지능 #인공지능 #미래전망 (편집, 업로드: 김유진)
moneybullkr/3690/5979929940734360310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 [김광석의 경제 읽어주는 남자] K-스테이블코인,...다음 - $CROSS 비트겟 가나봄 장현국씨의 그거 저는 참여...
moneybullkr/6105065466465726923
David's Anecdote
@davidanecdotekr
부에 대한 이야기
최근포스팅
새삼 덴버에서 열린 Showdown 토너먼트에서 3/4등전 까지 갔는데 시간 없어서 기권한게 기억이 나서 눈물이 나네요 🙏 *3등까지 Fluffle WL를 주는거였다..
viewCount130
1시간 전
메가 이더의 벨류는 나와봐야 알겠지만 다른 L2들과 생태계의 수익성 관점에서 바라보고 비교해봐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 Fluffle 판매로 이더 몇천개 이미 확보. 대형 벨리데이터 사실 이더 몇천개를 새로 모으는게 쉽지 않습니다. 이더 스테이킹 이자 생각하면 이미 메가이더 체인 / 팀의 수이 구조가 하나 벌써 존재한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 USDM을 통한 수익 창출. 여기서 나오는 수익들이 어떠한 방식으로든 네이티브 토큰과 연결시킬수 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바이백 될 수 도 있고 새로운 방식이 될 수 도 있겠네요. - 앱들을 통한 수익 창출. 메가 이더 생태계의 앱들은 이미 왠만한 L2 수준으로 투자를 받거나 다른 생태계에서 몇십억 규모의 그랜트를 제안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 만큼 매력적이고 거래 및 돈을 많이 태우게 되는 앱들이 많을 것 같은데, 이게 곧 시퀀서 수익으로 유의미하게 귀결 될 것 같습니다. *결국 "돈"을 벌어야 L2가 살아남을 수 있는데 이 관점에서 잘 하고 있는 팀은 세넷팀도 안될겁니다. 그래서 수익 관점에서 메가이더를 팔로우업 해보는것 유의미할 듯 합니다.
viewCount213
1시간 전
*다시는 잘 모르는 토큰에 숏을 치지 않겠습니다... #AVNT...
viewCount218
2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