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2일 ( 저녁 ) 간추린 코인뉴스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스테이블코인, 결제 분야 주목할 만한 혁신]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알베르토 무살렘 총재는 스테이블코인은 결제 시스템에서 주목할 만한 혁신이라고 평가하며 이 분야에 대한 규제 체계 정비는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어 스테이블코인은 향후 결제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SBC, 퍼블릭 체인서 홍콩 디지털화폐 테스트 완료]
HSBC는 최근 홍콩 금융관리국(HKMA)의 홍콩 디지털화폐(e-HKD+) 프로젝트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발표했다. ▲분산원장기술(DLT) 기반에서의 디지털화폐 활용성 ▲프라이버시·보안 설계 ▲퍼블릭 및 프라이빗 블록체인 간 확장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아비트럼, 이더리움 등 퍼블릭 체인과 자체 개발한 프라이빗 체인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연내 추가 연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JP모건 CEO 연준 금리 인상 가능성 40~50%...관세 영향]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은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40~50%로 본다.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며 시간을 두고 계속해서 물가를 자극할 것이라고 말했다.
[펌프닷펀, 솔라나 기반 월렛 추적 시스템 콜스캔 인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이 솔라나(SOL) 기반 월렛 추적 시스템 콜스캔(Kolscan)을 인수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콜스캔 인수는 펌프닷펀의 자체 코인 PUMP 발행을 앞두고 진행됐다. 구체적인 인수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엠버CN 이더리움 재단, 물량 매도 사실로 확인]
이더리움(ETH) 재단 추정 주소가 최근 외부 주소로 이체한 자금을 매도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그러면서 재단 주소는 최근 한 달 동안 21,000 ETH를 특정 주소 A(0xc06로 시작)로 전송했고 이 주소는 6일 전 다시 7,000 ETH를 또 다른 주소 B(0x247로 시작)에 보냈다. 이후 B 주소는 2시간 전 1,210 ETH를 주소 C(0x340로 시작)로 보내 유니스왑에서 349만 USDC에 매도한 뒤 이를 다시 B 주소로 이체했다고 설명했다.
[LD캐피털 산하 트렌드 리서치, ETH 미실현 수익 $1.3억]
암호화폐 투자사 LD캐피털 산하 트렌드 리서치의 ETH 미실현 수익이 1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엠버CN이 전했다. 트렌드 리서치는 18.2만 ETH를 보유 중이며 평균 매수가는 2,250 달러다 . 앞서 LD캐피털 창업자 잭 이(Jack Yi)는 우리는 ETH가 1,450 달러에서 거래될 때부터 강세 전망을 유지해 왔다며 ETH의 3,000 달러 회복은 강세장 신호탄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ETH 현물 ETF 5263억원 순유입...역대 두번째 규모]
파사이드인베스터에 따르면 10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총 3억 8310만 달러(5263억원)가 순유입됐다. 5거래일 연속 순유입이자, 역대 두번째로 큰 규모다. 블랙록 ETHA에 3억 90만 달러, 피델리티 FETH에 373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ETH에 207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ETHE에 1890만 달러, 비트와이즈 ETHW에 320만 달러, 반에크 ETHV에 210만 달러가 순유입됐다.
출처 : 코인니스 / Realtime Coin News/COINNESS KOREA

1
6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