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893
7시간 전
cobak_alert/1980/6138408564599932643
알트코인 시장 현황 ··· Web3 유저들의 관심이 토큰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을까? 📱 Web3 활동 지갑 수 - 2025년 2분기 Web3 일일 활성 지갑 수는 약 2,400만 개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 이 지갑들이 어떤 섹터에서 활동하는지를 보면 알트코인 섹터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음 🏃🏻‍➡️ Web3 사용자들이 몰리는 섹터 - 이더리움 가스 소비 내역을 보면 Web3 사용자들의 활동 섹터가 변화한 것을 볼 수 있음 - 2022년 ‘기타’ 카테고리의 가스 소비 비중은 약 25%였지만, 현재는 58%로 급증 - ‘기타’ 카테고리에는 RWA, DePIN, AI 기반 DApp 등이 포함됨 💸 토큰 가격 변화는? - 과거 투자자들은 네러티브 중심으로 투자했다면, 최근에는 성과·데이터 중심으로 투자를 결정 - 이에 따라 지난 1년간 ‘네러티브’에 의존하는 프로젝트보다 ‘인프라’와 ‘수익 중심’ 프로젝트가 더 높은 토큰 가격 상승률을 기록 📈 상승률 1위-(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섹터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상위 10개 코인이 평균 142% 상승) - 헤데라(HBAR)는 +360%, 스텔라루멘(XLM)은 +334% 상승하며 선두를 기록 📈 상승률 2위-(DeFi) - DeFi 섹터는 연간 평균 +77% 상승 - 커브(CRV)는 +308%, 펜들(PENDLE)은 +110% 상승 📈 상승률 3위-(RWA) - RWA 섹터는 연 평균 65% 상승을 기록 📉 AI 섹터는 하락세 - AI 관련 토큰은 전반적으로 부진 - 상위 10개 AI 프로젝트는 연간 -25% 하락 ✏️ 정리 - 전반적으로 알트코인 투자자들은 수익 창출이 뚜렷한 DeFi와 RWA 섹터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해질수록 투자자들은 ‘스토리’보다 데이터와 성과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 - 앞으로 알트코인 시장은 ‘기대’ 중심에서 ‘성과’ 중심으로 전환해 나갈 가능성이 높음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Acurast, 프로젝트 및 에드작 소개 ✔️ Acu...다음 - 🗞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 재산 20억…강남 아파트...
cobak_alert/6235274044358374912
코박 얼럿 (Cobak Alert)
@cobak_alert
대한민국 No.1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입니다 코박 텔레그램은 여러분께 쉽고 정확한 투자정보를 제공합니다 코박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의 몫입니다. 문의 : @cobak_alert12 코박 홈페이지: https://cobak.co.kr/ 코박 커뮤니티: https://cobak.co.kr/community/all 코박 뉴스: https://cobak.co.kr/news/news_home
최근포스팅
SEC는 10월에 XRP(리플) ETF를 승인할까? (D-day 60) 📄 SEC 공시 내용 - 현지시간으로 8월 18일, SEC는 XRP ETF 승인 결정을 60일 연장해 10월로 미루겠다고 공시함 - 대부분의 XRP ETF 신청서는 올해 2월에 제출되었으며, SEC는 180일이 되는 8월 말까지 승인, 거절, 연기 여부를 결정해야 했음 - SEC가 법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최대 기한은 240일(180일 + 60일)이기 때문에 60일 추가 연장을 선택한 것 - 참고로 SEC는 보통 19b-4 신청서에 대해 응답할 때 대부분 최대 기한을 활용하는 편 ⚖️ 승인 결정 연기 이유 - 공시에 따르면, “위원회는 제안된 규정 변경과 그와 관련된 쟁점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더 긴 기간을 지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라며 연기 사유를 설명함 ‼️ XRP ETF 최종 승인 기한 - 최종 기한은 제출일 기준 +240일임 - 제출일로부터 180일째 되는 날까지 승인, 거절, 혹은 60일 연장을 결정해야 하고, 이번 공시를 통해 60일 연장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대략 10월 중순~말까지는 반드시 최종 결론이 나와야 함 📌 승인 대기 중인 XRP ETF 신청서 현재 10월까지 승인을 기다리는 XRP ETF는 - Grayscale - 21Shares - Bitwise - Canary Capital - WisdomTree - CoinShares - Franklin Templeton 빠르면 10월 중순, 늦어도 10월 20일 전후에는 SEC의 승인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됨
viewCount1950
1일 전
금요일(22일), 파월의 마지막 잭슨홀 미팅 연설 ··· 월가는 실망할 것? 💬 잭슨홀 미팅 - 파월 발언 예정 - (한국시간) 이번주 금요일 밤 11시, 파월 의장은 매년 열리는 잭슨홀 경제정책 심포지엄에서 정책 연설을 진행할 예정 - 이번 잭슨홀 연설은 파월이 연준 의장으로서 하는 마지막 잭슨홀 발언이 될 전망 📌 잭슨홀 미팅 관전 포인트 - 잭슨홀은 정책 결정자들이 향후 금리 방향에 대한 힌트를 살짝 드러내는 무대로 활용되어옴 - 시장은 파월이 향후 금리 정책 방향에 대한 신호를 줄 지 주목 - 특히 금리 인하 속도, 인하 폭에 대한 힌트를 찾을 전망 😥 월가 반응 - 월가는 이번 잭슨홀에서 파월이 금리 인하를 직접적으로 시사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음 - 월가를 실망시킬 수 있다는 반응이 지배적 - 매파(hawk)도 비둘기파(dove)도 아닌, 올빼미(owl) 파월을 볼 것이라는 반응이 많음 - 즉, 기다리고 지켜보자(wait and see)는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는 뜻 - 파월은 “연준 결정은 데이터에 달려있다”는 기존 입장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 ⚠️ 금리인하 애매한 이유 - 인플레이션은 다시 오르고 있고, 고용 지표는 악화되고 있는 상황 - 연준의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음 - 최근 경제학자들 악화되는 고용지표가 기업들의 채용 수요 감소 때문인지, 아니면 일할 사람이 줄어든 공급 부족 때문인지에 대한 논쟁이 진행 중 - 만약 일하겠다는 사람이 부족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까지 진행될 경우 인플레이션은 더욱 악화될 수 있음 - 노동자가 부족한 상황에서의 금리 인하는 ‘임금 상승 + 물가 상승’을 불러오기 때문 ✏️ 결국 파월은 노동시장 불확실성을 이유로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과연 파월 연설 이후 9월 금리인하 확률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viewCount1609
2일 전
⚡️ 코박라이브 정답 공개⚡️ (1) 비트마인(BMNR) (2) 없다 (3) O 👆🏻반짝이를 터치하면 정답이 표시됩니다
viewCount892
8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