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292
4시간 전
⚡️ 코박라이브 정답 공개⚡️ (1) 잭슨홀 미팅 (2) YZY (3) 베라체인(BERA) 👆🏻반짝이를 터치하면 정답이 표시됩니다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NODO × Momentum , 조합 좋은데?? ...다음 - 🗞 신현송 “스테이블코인 범죄 비트코인 추월…자본유출...
cobak_alert/6235274044358374912
코박 얼럿 (Cobak Alert)
@cobak_alert
대한민국 No.1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박입니다 코박 텔레그램은 여러분께 쉽고 정확한 투자정보를 제공합니다 코박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의 몫입니다. 문의 : @cobak_alert12 코박 홈페이지: https://cobak.co.kr/ 코박 커뮤니티: https://cobak.co.kr/community/all 코박 뉴스: https://cobak.co.kr/news/news_home
최근포스팅
🍯 코박라이브 힌트 공개! 🐝 📌 1번 문제 힌트 이번주 금요일, 파월 의장이 '이 행사'에서 연설할 예정입니다.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열리는 이 행사의 이름을 잘 기억해주세요! 코박에서 힌트보기 📌 2번 문제 힌트 오늘 미국 래퍼 칸예 웨스트가 밈코인을 발행했습니다. 그가 발행한 밈코인 이름이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코박에서 힌트보기 📌 3번 문제 힌트 업비트는 밈코인 종목에 '밈'이라는 표시를 제공합니다. 3번 문제는 업비트에 상장된 코인중 밈코인이 아닌 종목을 고르는 문제에요! 🔥코박라이브는 잠시 후 4시에 시작합니다🔥
viewCount395
5시간 전
중국, 위안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관련 소식 정리 🇨🇳 중국도 스테이블코인 발행? - 중국이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로드맵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발표 - 해당 논의는 8월 31일부터 9월 1일까지 열리는 상하이 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다뤄질 예정 🚢 위안화 스테이블코인 활용처 -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활용 사례는 특정 국가와의 국경 간 무역 및 결제가 될 것으로 보임 - 오프라인 가맹점 결제 활용 여부는 8월 말 열리는 정상회의에서 추가 언급될 가능성이 있음 ❔ 중국은 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할까? - 스위프트(SWIFT)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 위안화의 글로벌 결제 점유율은 2.88%로 2년 만에 최저치 기록 (6위) - 반면 달러는 약 47%의 점유율로 압도적 1위 - 또한,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도 달러 기반 토큰은 약 2,880억 달러 규모로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중 98%를 차지 -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달러의 글로벌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중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필요성을 자극한 것으로 풀이됨 ✏️ 정리 - 트럼프 행정부가 GENIUS 법안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하며 달러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에 속도를 내자, 중국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위안화 국제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새로운 카드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하는 분위기
viewCount947
9시간 전
알트코인 시장 현황 ··· Web3 유저들의 관심이 토큰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을까? 📱 Web3 활동 지갑 수 - 2025년 2분기 Web3 일일 활성 지갑 수는 약 2,400만 개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 이 지갑들이 어떤 섹터에서 활동하는지를 보면 알트코인 섹터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음 🏃🏻‍➡️ Web3 사용자들이 몰리는 섹터 - 이더리움 가스 소비 내역을 보면 Web3 사용자들의 활동 섹터가 변화한 것을 볼 수 있음 - 2022년 ‘기타’ 카테고리의 가스 소비 비중은 약 25%였지만, 현재는 58%로 급증 - ‘기타’ 카테고리에는 RWA, DePIN, AI 기반 DApp 등이 포함됨 💸 토큰 가격 변화는? - 과거 투자자들은 네러티브 중심으로 투자했다면, 최근에는 성과·데이터 중심으로 투자를 결정 - 이에 따라 지난 1년간 ‘네러티브’에 의존하는 프로젝트보다 ‘인프라’와 ‘수익 중심’ 프로젝트가 더 높은 토큰 가격 상승률을 기록 📈 상승률 1위-(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섹터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상위 10개 코인이 평균 142% 상승) - 헤데라(HBAR)는 +360%, 스텔라루멘(XLM)은 +334% 상승하며 선두를 기록 📈 상승률 2위-(DeFi) - DeFi 섹터는 연간 평균 +77% 상승 - 커브(CRV)는 +308%, 펜들(PENDLE)은 +110% 상승 📈 상승률 3위-(RWA) - RWA 섹터는 연 평균 65% 상승을 기록 📉 AI 섹터는 하락세 - AI 관련 토큰은 전반적으로 부진 - 상위 10개 AI 프로젝트는 연간 -25% 하락 ✏️ 정리 - 전반적으로 알트코인 투자자들은 수익 창출이 뚜렷한 DeFi와 RWA 섹터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임 -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해질수록 투자자들은 ‘스토리’보다 데이터와 성과를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음 - 앞으로 알트코인 시장은 ‘기대’ 중심에서 ‘성과’ 중심으로 전환해 나갈 가능성이 높음
viewCount1227
1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