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 채널 주요 소식 모아보기
넘쳐나는 크립토 뉴스! 양질의 컨텐츠만 큐레이션해서 보여드려요.
BITMAN X는 암호화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취합 및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이며 이용자의 투자 의사결정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광고 문의
teleg
  • 전체보기
  • 뉴스/정보
  • 현물/선물트레이딩
  • 에어드랍/이벤트
  • 상장관련
viewCount317
1달 전
doriworld/7158/6332213685317125610
RISE라는 이더리움 L2는 blocktime이 10ms라고 함... 속도만을 내세웠던 L1들은 그들의 존재이유를 증명해야하는 시간이 오는 듯... https://risechain.com/
목록으로 돌아가기텔레그램 링크 바로가기
이전 - 다음 - 이 악물고 "만트라 이슈 별거아님ㅋㅋ" 하시는분들 진짜...
doriworld/6102627084682768942
도리의 코인메모
@doriworld
Twitter : https://twitter.com/dori_coin 문의 : @dori_coin
최근포스팅
버츄얼과 카이토가 살짝 비슷한데... 버츄얼은 사실상 ai agent 토큰 하입으로 치고 빠지는 눈치게임에 놓인 것 같음... 반면, 카이토는 원래 잘나가는 애들 + 새로 나오는 애들 버츄얼 마저 온보딩해주는 에드 플랫폼임... @virtuals_io 하입은 ai agent 거품꺼지면 금방 사라질 것 같은게... 포스팅의 virgen point 보상 알고리즘도 정교해 보이진않움... 막 뿌리는 느낌이 있음. 더구나 ai agent도 유의미한 활동이나 목적이 있는게 많지 않아 보임... 그에 반해 @KaitoAI 는 보상 로직도 꽤 정교하고, 웬만한 프로젝트들이 attention 을 노리고 연결되어있음... 특히 yaps가 전부가 아님... 야핑 데이터는 얘네들이 만들 요리의 재료일 뿐임... 그래서 카이토가 꽤 오래갈 것 같음...
viewCount260
15시간 전
스티밋 출처: https://steemit.com/hive-101145/@project7/dydx
viewCount249
2일 전
dYdX의 대규모 에어드랍 이후로 유저와 거래량은 엄청나게 늘었음. 당시 Uniswap이 24시간 기준 40억 달러, dYdX가 87억 달러에 달할 정도였으니... 이 때 코인베이스 거래량도 넘었다고함... (현재 Uniswap은 20억 달러, dYdX는 2.1억 달러, Hyperliquid가 110억 달러 정도로 확인됨, 모든 버전을 포함하면 더 될 수 있음) 체인도 재밌는게, dYdX는 2번의 마이그레이션을 거쳤음. 이더리움 메인넷 DEX → 이더리움 레이어2 → Cosmos SDK 기반 현재의 dYdX가 됨. 이더리움 메인넷이던 시절엔 2020년 초반까지만 DEX 거래소 볼륨을 다 차지했다고 함. 그러나 디파이 썸머의 시작과 함께 유동성 전쟁이 일어나고, tx 수수료가 높아지는 문제로 인해 적자가 지속되면서 Starkware의 zk롤업인 StarkEx 레이어2로 마이그레이션하게됨. Starkex 레이어2로 마이그레이션하여 빠른 처리와 낮은 수수료의 장점을 가져가고, $DYDX 발행으로 에어드랍을 진행하여 크게 인기를 끌게됨. 그러나 StarkEx는 EVM 호환이 안되었고, off-chain orderbook + on-chain settlement 구조라 사실상 탈중앙화 거래소가 아니었음. 그래서 탈중앙화 오더북 + 체인에 최적화된 거래엔진 구현 + 독립적인 거버넌스를 구현하기 위해 Cosmos SDK 기반 현재의 V4 dYdX로 거듭난 것임. dYdX 설립자인 @AntonioMJuliano 도 코인베이스 개발자 출신이라... dYdX가 당시 DEX 시장에서 큰 역할을 하게 된 데는 그만한 배경이 있었음...
viewCount201
2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