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발생할 수 있는 토큰화 MMF의 끔찍한 부작용? BIS가 지적한 토큰화 MMF의 위험요소
📊 토큰화 머니마켓펀드(MMF) 규모
- 현재까지 토큰화된 머니마켓펀드(MMF) 규모는 약 90억 달러
- 2023년 약 7억달러 수준에서 현재까지 10배 넘는 성장
- 토큰화 MMF는 크립토 생태계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담보 자산이자 예치수단
🧩토큰화 MMF의 장점
- 스테이블코인은 규제상 보유자에게 이자를 지급할 수 없지만, 토큰화 MMF는 미국 국채 등 단기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를 그대로 투자자에게 지급
- 기존 MMF처럼 단기 무위험 금리에 준하는 수익률을 제공
- 또한 블록체인 기반 토큰이기 때문에 P2P 거래·스마트 컨트랙트 자동화 등 스테이블코인의 장점을 그대로 갖추고 있음
⚠️ 토큰화 MMF의 위험요소
- 국제결제은행(BIS)은 토큰화 MMF가 새로운 유동성 및 연쇄 청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
- 토큰화 MMF는 기존 머니마켓펀드와 유동성 불일치 위험을 갖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과 관련된 운영 리스크 및 AML/CFT(자금세탁·테러자금 방지) 위험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평가
1️⃣ 위험 경고 이유 - 유동성 불일치
- 토큰화 MMF는 블록체인에서 즉시 거래·이동되지만, 그 토큰이 실제로 들고 있는 자산(국채·레포 등)은 전통 금융의 결제 주기(T+1~T+2)를 따르기 때문에 실제 정산은 하루~이틀 뒤에야 완료됨
- 즉, 투자자는 온체인에서 이미 빠져나갔는데, 펀드는 실제 자산을 팔아 환매금을 준비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구조적 공백이 존재
- 여기에 온체인 기록은 모든 환매·매도가 실시간 공개되기 때문에, 누군가 많은 양을 팔면 시장은 “무슨 위기가 있나?”라는 불안감을 즉시 갖게 됨
- 그 결과, 다음날 장이 열리면 MMF 환매 요청 + 일반 투자자의 패닉셀이 동시에 몰려 펀드가 감당하기 어려운 매도 흐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2️⃣ 위험 경고 이유 - 스테이블코인
- 일부 토큰화 MMF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즉시 교환할 수 있거나 스테이블코인의 준비금(reserve)역할을 수행함
- 즉, 토큰화 MMF와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서로 연결된 상태라는 뜻
- 이 연결 구조 때문에 한쪽 시장이 흔들리면 충격이 즉각 반대쪽으로 전이되는 위험이 발생
- MMF에서 큰 돈이 빠지면 → 스테이블코인 준비금 부족
- 스테이블코인에 문제가 생기면 → 준비금이던 MMF를 대량 매도
- 두 시장이 동시에 무너질 수 있는 구조적 전염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
3️⃣ 위험 경고 이유 - 담보금 연쇄 청산
- 크립토 시장에서는 토큰화 MMF를 대출의 담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 특히 MMF를 담보로 스테이블코인을 빌리고, 그 스테이블코인으로 다시 MMF를 매수하는 루핑(looping) 구조가 퍼지고 있음
- 이 구조에서는 가격이 조금만 흔들려도
- 담보 가치 하락
- 대출 포지션 강제청산
- 강제 매도 → 가격 추가 하락
- 또 청산…
이런 방식으로 눈덩이처럼 번지는 연쇄 청산(cascade liquidation)이 발생할 수 있음
💭지금 당장 위험한건 아니지만..
- 물론 현재 토큰화 MMF 시장 규모나 구조만 놓고 보면 즉시 뱅크런을 일으킬 정도의 환매가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음
- 다만, 위에서 설명한 유동성 불일치·스테이블코인 연계·레버리지 구조 등 여러 위험 요소가 하나라도 촉발되면 위기가 순식간에 전염·확산될 수 있다고 BIS는 경고하고 있음

277
6시간 전